페이지

2012년 3월 27일 화요일

소리 소문없이 사라져버린 '이상득 수사'

원본게시날짜 :  2012.03.26 21:01:58

국민의 눈과 귀가 4ㆍ11 총선 레이스로 향하는 가운데 소리 소문없이 사라져버린 사건이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새누리당 이상득 의원에 대한 검찰수사가 그것이다. 검찰은 5일 이 의원의 저축은행 금품수수 의혹 등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은 그동안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에서 수사해온 이 의원 관련 사건기록 일체를 넘겨받아, 영업정지된 프라임저축은행이 퇴출당하지 않으려고 이 의원에게 수억원대 금품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에 대해 수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특수3부는 그간 이 의원실 직원계좌에서 발견된 뭉칫돈 7억원의 출처를 수사해왔으며, 합수단은 이 의원이 프라임저축은행으로부터 금품 로비를 받았다는 첩보를 입수해 7억원과의 연관성을 면밀히 검토해왔다. 당시 이 의원은 문제의 7억원은 부동산 매각 자금과 집안 행사 때 들어온 축의금 등을장롱에 보관하다가 틈틈이 의원실 경비로 준 것이라고 해명했고, 이에 대해 야당 측은 "이 의원 집 장롱이 얼마나 큰지 보고 싶다"고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 직원계좌에 들어있던 거액의 자금 출처에 관한 진실이 무엇인지, 귀추가 주목되는 사안이었다.

두 의혹에 대한 조사가 병합됨에 따라 이상득 의원 관련 의혹에 대한 검찰 조사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동안 이 의원과 관련된 비리의혹이 계속 제기되는데도 대통령의 형이라는 이유 때문에 제대로 수사를 안 한다는 시선을 의식해 검찰이 본격 수사 방침을 밝힌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그 뒤 한달이 다 되도록 검찰에서는 이 의원 조사에 관한 어떤 얘기도 나오지 않고 있다. 그래서 검찰이 또 다시 정치적 고려를 하며 시간끌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의심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서 정치적 고려라 하는 것은 총선 일정을 말한다. 

4ㆍ11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선거전이 시작된 마당에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이 검찰에 소환되어 조사받는 장면은 두말할 것 없이 여당에게는 커다란 악재이다. 만약에 혐의가 입증되어 사법처리까지 되는 상황이라도 되면 그 타격은 더욱 커질 것이고, 야당의 정권심판론에는 탄력이 붙게될 것이다. 검찰이 이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를 미루고 있는 것은,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의 형을 소환하는데 대한 정치적 부담을 의식한 눈치보기라는 시선을 받게 되어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가족, 혹은 한명숙 대표 주변에 대해서는 그렇게 신속하게 수사하고 언론을 통해 이런 저런 얘기들을 미리 내보내던 검찰이, 이 의원에 대해서는 시종일관 이렇게까지 신중한 자세를 취하는지 모르겠다. 이 의원과 관련된 의혹이 세상에 불거진지 벌써 몇 개월이 지났는데도 정작 당사자에 대한 직접 조사 한번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 그것이 과연 국민의 상식으로 이해될 수 있겠는지 묻게 된다. 그가 대통령의 형이 아니라 야당 정치인이었더라도 검찰이 이렇게 시간을 끌었을까.

이상득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가 아무리 총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라 해도, 검찰수사가 정치적 고려 때문에 의도적으로 지체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검찰은 의혹의 진실을 가리는 곳이 되어야지, 정치적 고려를 하며 특정 정당의 입장을 봐주는 곳이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검찰은 법과 원칙대로, 총선 이전이라 해도 이 의원에 대한 소환조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법처리 여부를 매듭지어야 할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 의원을 둘러싼 논란은 그치지 않고 있다. 민간인 불법사찰에 대한 청와대의 개입사실이 확인되면서 이 의원이 중심으로 있는 '영포라인'이 몸통이라는 의혹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새누리당 경북 명예선대위원장에 이 의원이 임명된 것을 놓고 야당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당사자인 이 의원은 태연한 모습이다. 그는 22일 자신의 트위터에 "이번 주말 남미 볼리비아에 다시 갑니다, 6번째 출장"이라며 "내일의 대한민국이 더 빛나고 자랑스럽게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는 글을 남겼다. 내일의 대한민국이 더 빛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대통령의 형과 관련된 의혹들을 명확히 가리고 가야 함을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원문 :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1203/h2012032621015824370.htm




청와대가 민간사찰 변호사비 냈다

원본게시날짜 :  2012-03-27 02:57:5

장진수씨 주장…“일부는 민정 출신 강훈 변호사가”

청와대가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의 증거 인멸 과정을 주도했다고 폭로한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39)은 26일 “변호사 비용도 청와대가 대납해줬다”고 밝혔다. 장 전 주무관은 변론 비용 일부는 현 정부 초대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낸 강훈 변호사가 부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강 변호사는 법무법인 바른의 대표변호사다.

장 전 주무관은 26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2심 재판을 준비할 때 잠깐을 빼고는 검찰 조사와 재판의 모든 과정에서 변호사 비용을 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변호사 비용은 최종석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을 통해 해결했다”고 덧붙였다.

장 전 주무관은 “2010년 8월 첫 검찰 조사를 받기 전날 최 전 행정관이 소개해준 이모 변호사를 만났다”면서 “이 변호사는 검찰에서 어떻게 진술할지를 가르쳐줬다”고 말했다. 또 “이후 1심 재판까지 같이했는데 나는 비용을 걱정할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증거인멸 사후 입막음 과정에 개입했다는 뜻이다.

장 전 주무관이 26일 추가로 제출한 녹취파일에는 자신이 최 전 행정관과 변호사 비용을 논의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녹취록에서 최 전 행정관은 장 전 주무관에게 “비용 문제는 직접 ‘당신’이 정리하시겠대. 자네는 소송 준비만 열심히 하면 된다고 하시네”라고 말했다. 이 대화는 장 전 주무관의 2심 판결 한 달 전 녹음됐다.

장 전 주무관은 녹취록에서 최 전 행정관이 변론 비용을 해결할 당사자로 언급한 ‘당신’의 실체에 대해 “나는 법무법인 바른의 강훈 변호사라고 이해했다”면서 “2심 변론을 맡은 홍모 변호사를 강 변호사가 후배라며 추천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강 변호사는 이명박 정부 초대 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지낸 뒤 바른의 대표변호사를 맡고 있다. 바른은 현 정부와 관련된 사건을 대거 수임하며 급성장했다. 불법사찰·증거인멸 혐의로 기소된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과 진경락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을 1심부터 변호했다.

최 전 행정관은 장 전 주무관이 구속을 면한 데 따른 변론 성공보수도 대신 지불했다. 장 전 주무관은 “서울 서초역에서 이동걸 고용노동부 장관정책보좌관으로부터 4000만원이 든 쇼핑백을 받아 법무법인 바른 사무실에서 최 전 행정관에게 건넸다”며 “최 전 행정관이 이 중 1500만원을 떼줘 변호사 성공보수를 냈다”고 말했다. 그는 “4000만원 중 나머지 2500만원은 다른 사람의 변호사 비용일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최 전 행정관은 이달 초 공개된 장 전 주무관과의 대화 녹취록에서 “나로서는 보호해야 할 사람이 자네뿐만 아니라 이인규, 김충곤, 원충연, 진경락 다 있다”고 밝혀 이들의 변론 비용도 대납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경향신문은 이날 강훈 변호사의 해명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3270300135&code=910203




삼성역까지 1시간30분 떨면서 걸어…피난길 같아

원본게시날짜 :  2012-03-26 오후 12:07:53


핵안보정상회의로 교통 통제…"마구잡이 불심검문도 국제 망신"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린 26일 오전 서울 시내 곳곳에 교통 통제가 이뤄지면서 출근하는 시민들이트위터 등 SNS를 통해 불만을 쏟아냈다.

행사장인 코엑스 인근의 지하철 2호선 열차는 이날 오전부터 회의가 끝나는 27일 오후 6시까지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하기로 했다.

지하철 무정차에 대한 방편으로 서울시는 지하철 2호선 선릉역과 종합운동장에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했지만, 이용객 수백 명이 몰리면서 인근은 아수라장이 됐다.

꽉 막힌 도로에서 내리는 시민들이 차에서 내려 줄을 서서 걸어가는 진풍경이 벌어지면서 여기저기서 불만이 나왔다. 한 블로거는 "대박 지각이다. 무슨 회담할 때마다 이런데 좀 짜증이 난다"며 "결국 (버스에서) 내려서 사람들이 줄서서 걸어갔고, 30분이면 되는 길을 추위에 떨어가며 1시간30분 걸려 출근했다. 무슨 피난 가는 길 같았다"고 말했다.

교통 정체가 '국제 망신'이라는 반응도 있었다. 트위터 아이디 @shinyhyuk는 "핵안보 정상회의도 좋고 국위선양도 좋은데 영동대로 절반을 딱하니 막아놓고 철책 세우고 뭐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며 "보도에서는 마구잡이 불심검문까지. 국제회의도 자연스럽게 치러낼 역량이 없음을 국제적으로 광고하는 꼴은 아닐지. 덕분에 가뿐하게 지각했다"고 토로했다.

교통 통제에 대해 회의감을 드러내는 시민도 있었다. @bluetears23는 "삼성역에 전철 안 선다고 테러를 포기할 근성 없는 테러범이면 애초에 경계를 할 필요가 없지 않느냐"라고 반문했고, 이 트위터는 빠른 속도로 리트윗되면서 널리 퍼졌다.

그밖에 @mkyd21는 "삼성역에선 지하철도 서지 않습니다. 3겹 방어막도 쳤습니다. 지나가는 시민들을 일일이 검문한답니다. 무엇을, 누구를 위한 핵안보입니까"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dotmanner는 "핵안보 정상회의는 왜 '서울'에서 해야만 하는 걸까. 그것도 '테러 위협에 가장 취약한 지역에서 테러 위협을 방지한다는 이유'로 수많은 불편을 야기시키면서 말이다"라고 거들었다.


원문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30120326115546&section=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