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1월 11일 금요일

★전여옥의 충격고백★쥐바기가 한미 FTA에 목매눈 이유!!!! [27]


조회 9089      2011.11.11 00:00




靑 "미국에선 FTA 통과된지 2주 지났는데...답답"

청와대는 10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이 계속 지연되는 것과 관련,
"미국에서 한미 FTA 비준안이 통과된 지 벌써 2주일이 지났는데도
안 되고 있어 답답하다"며
정치권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왜????????
답답할까여..ㅠㅠ???

이유눈 하나~
요거 땜인데여..ㅠㅠ

↓바루 요거 땜인데여..ㅠㅠ


구런데,
쥐바기눈
왜????
아바타가 됐을까여..ㅠㅠ?????

전여옥 "시간 더 끌면 저들 촛불로 국회 에워쌀 것"
↑혹시 요거 땜에 답답하신쥐..ㅋㅋㅋ

"그러나 국회의원이 신조로 받들어야 할 것은
몸싸움 안하기도
고상하고
우아한 의정활동도 아니고
이 나라의 국익과 미래"이라며

"그리고 정치는 그렇게 후방에서 편하게,
구경하듯 하는 것이 아니다.
진흙탕에서 뒹굴고 설사 내가 벼락 맞아 죽겠구나 생각해도
폭우 속으로 뛰어드는 것이 정치"이라며
강행처리의 당위성을 주장했다.

전여옥 의원님
혹시
↓요게 두려우신가여..ㅠㅠ


[2008년 10대 촛불이 성인으루 여의도에 다시 모이구~~]

요 분들이 국회를 포위하면
쥐바기두 쥐날당두 끝나니깡!!!!!

내일[11일]두 촛불운 이어진당!!!!!

쥐바기 일당과 쥐날당운 한미 FTA 전면 포기하구

백기 들구 국민 앞에 투항하랑!!!!!!!

[다른글]★필독!!! 추천!!!!★

★경악!!★요 분들 모두 잡아 사형에 처하눈게 마땅!!!

★여의도에 모인 수 만의 인파★한미 FTA 결사저지..



원문 :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700370&hisBbsId=best&pageIndex=1&sortKey=agreeCount&limitDate=-30&lastLimitDate

靑 "미국에선 FTA 통과된지 2주 지났는데...답답" - 한나라당 요구는 야당 설득해 달라는 것이나..."

원본게시날짜 : 2011-11-10 17:31:40



청와대는 10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이 계속 지연되는 것과 관련, "미국에서 한미 FTA 비준안이 통과된 지 벌써 2주일이 지났는데도 안 되고 있어 답답하다"며 정치권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하며 "대통령은 할 수 있는 그 어떤 일이라도 할 마음의 자세가 돼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이 느끼는 초조감을 전했다.

그는 "이 대통령은 FTA 문제를 단순히 하나의 법안 내지는 투자협정 차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내년에 세계 경제가 어려워진다는 전망 속에 미국에 대한 수출이 늘었으면 하는 게 우리가 갖고 있는 희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나라당 입장에서는 정부가 할 일을 다했고 이제 당으로 공이 넘어온 만큼 당에 맡겨달라는 입장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 문제는 여의도가 주도권을 갖고 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며, 청와대는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고 청와계의 한계를 토로하기도 했다. 그는 이어 "한나라당의 요구는 야당을 설득해달라는 것"이라며 "하지만 야당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진정성이 전제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칫 제스처나 언론 플레이라고 야당이 기분 상해할 수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대국민 담화 발표설에 대해선 "여러가지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며 "다만 지금 상황에서는 말이 앞설 때가 아니라는 것이다. 상황은 여러 가지로 변할 것이며 FTA 비준이 끝나기 전에 '한다, 안한다'를 말할 수 없고 상황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즉답을 피했다.

이영섭 기자 



원문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0549

어버이연합, '노무현 관' 퍼포먼스 파문 - 고 노무현대통령 등장시켜 야당 비난, 반상식적 행태

원본게시날짜 : 2011-11-10 21:44:06


대한민국어버이연합이 10일 한미FTA 비준안 처리 촉구 기자회견을 하는 과정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관(棺)을 동원한 퍼포먼스를 해 파문이 일고 있다.

어버이연합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 국민은행 앞에서 한미FTA 비준안 처리 촉구 기자회견후 고 노무현 대통령과 야당 지도부 6명의 가면을 쓴 보수인사들이 문제의 퍼포먼스를 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가면을 쓴 노란옷의 보수인사는 관에서 일어서 나와 "내가 하려던 한미FTA를 왜 막냐"며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김진표 원내대표, 정동영 최고위원, 천정배 최고위원,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 문재인 통합과혁신 대표 등의 가면을 쓴 보수인사들을 향해 "내가 너희를 함께 데리고 가야겠다"고 외치며 그들의 가면을 벗겼다.

그는 이들 6명의 가면을 함께 가지고 관에 다시 들어가 누웠고, 그러자 주변 보수인사들이 관 뚜껑을 닫았다.

이들이 퍼포먼스를 하는 동안에 주변에는 영등포 경찰서 병력이 둘러싸고 있었으나 아무도 이를 저지하지 않고 지켜보고만 있었다.

서거한 전직 대통령을 퍼포먼스에 동원한 것은 지극히 반상식적 행태로,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한결같이 어버이연합을 질타하고 있으며 이를 방치한 경찰에 대해서도 비난의 목소리가 쏟아지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김동현 기자


원문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0556

♣ 외신기자도 분노한 한미 FTA !!!!!!!!!!!!!!!!!!!!!!!!!!! ♣ [42]


조회 1978     작성 : 2011.11.11 12:52




최근 한미 FTA 관련 세상이 혼란스럽다

이 모든 책임은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너희들이 책임져야할 사항이다

대한민국은 주권국가다 근데 MB 그대는 미국의회가 통과시켰으니 한국도 당연히 법안

통과시켜야 당연하다니 그대는 미국의 꼭두가시인지 묻지 않을수가 없다

노무현정권이 맺은 협상을 미국은 4년이나 끌고오다가 결국은 자국에게 유리하게 협정

을 수정하여 통과시켰다

당연히 한국정부 국회도 이를 충분히 검토하여 국익에 위배되지않게 이해당자사 전문가

들로 하여금 충분히 심사숙고하고 국민에게 고지 이해 설득 시켜야함이 당연하나 정권과

한나라당은 MB가 미국의회에서 융숭한 대접과 환대를 받았으니 귀국즉시 이를 법안처

리 강행하려는 태도에 분노와 울분을 금할수가없다

한국은 당연히 주권국가다 근데 MB의 지시에 무조건 순응하고 복종하는 한나라당 니들

은 대체 입법기관인지 이명박의 충실한 졸개들인지 한심하기 그지없다

지난 미국의 부시정권시에도 MB는 부시의 개인목장에서 융숭한 대접을 받고 귀국하여

지구상 어느나라도 수입하지않는 미국산 30개월이상 소고기 수입강행 처리하려다 국민

적 분노와 울분을 초래한걸 잊었단 말인가

미국과 FTA 체결한 멕시코  남미국가  모두다 쪽빡차고 파탄난걸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호주 이스라엘은 미국과의 FTA 협상에서 ISD 조항을 왜 삭제했는지 배우기를 바란다

한술 더떠 검찰은 FTA 유언비어 단속한다니 어이가 없고 완전히 맛이 갔구나~

검찰은 국민의 종복인가!!!!! 이명박정권의 충실한 애완동물인가!!!!!!

정말 법만 없다면 솔직히 너희들 모두 두들겨 패서라도 인간 만들고 싶은게  지금 국민

들 마음이란것 알아두기를~

헤비급인 미국과 플라이급인 한국을 아무 제한없이 동등한 조건으로 링위에서 맞부딪히

면 그 결과는 아무리 수구골통들인 한나라당 너희들이 판단해도 짐작이 될것이다

한국이 유리하다는 자동차 조선 전자산업도 지난 론스타 그룹의 수조원 외환은행 먹튀사

건처럼 미국의 세계최대 금융자본 먹튀자본인 월가의 국내주식시장 투기자본으로 한국

기업의 수출이익은 모두 이들이 가져갈것은 자명한 현실이다

이명박정권 한나라당은 안보주권인 전시작전통제권 미국 이양에 이어 경제주권마저 상

납하는 제2의 을사늑약이 되지않기를 바란다

충분한 시간과 인내심을 가지고 검토 해석하여 관련대책 이행법안을 관련단체 국민에게

설명 양해를 구한후 한미FTA 에 임하기를 강력히 주문한다

제 주장에 동의하시면 찬성에 한표!!!!! ^&^ ^&^
이글 필요하신분 각종 사이트 양껏 퍼나르시기를!!!!^&^ ^&^



원문 :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701294&hisBbsId=total&pageIndex=3&sortKey=regDate&limitDate=-30&lastLimitDate=


김석기 총영사, 총선 위해 사퇴…후임자도 없이 귀국 '논란'

원본게시날짜 :

  • 최종무기자




  • 2011-11-09 07:22:33 





  • 김석기 주 오사카 총영사가 부임 6개월 만에 내년 총선 경주지역 출마를 위해 사직 의사를 밝히고 지난 7일 귀국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경찰청장 출신인 김 총영사는 얼마전 청와대에 직접 사의를 밝힌 뒤, 후임 인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귀국해 버렸다는
    지적을 받았다. 정부가 사직서를 처리하고 교체 시기를 정하기도 전에 임지를 떠난 것이다.

    이에 대해 김 총영사는 8일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임의로 사표를 던지고 들어온 게 아니고 부서 장관, 청와대 인사비서관과
    사전협의를 충분히 했다”며 “오해가 없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내년 총선에서 경주 출마를 위해 임의로 사표를 낸 게 아니고, 이미 한달 전에 외교부 장관을 만나서 사의를 표명했고, 그 이후 정식으로 사직서를 제출했다”며 “동시에 청와대 인사비서관에게도 11월7일에 사직하겠다는 뜻을 전했고, 양쪽 다 ‘잘 알겠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김 총영사는 “어제(7일) 모든 이임인사를 끝내고 공항에 도착할 무렵 외교부 인사담당자로부터 전화가 왔다. ‘대통령이 재가를 내릴 예정인데, 아직 재가를 받지는 못했지만 오늘쯤 결재가 날 예정’이라고 들었다. 진작부터 약속을 한 것이고 해서 오늘 중으로 결재가 난다고 생각을 했고, 이 부분이 불찰이라면 불찰”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총영사도 중요하고 가치있는 자리지만 근본적으로 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하고 한·일관계 전체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선택이 필요했다”며 “그래서 총영사를 계속할 지 아니면 출마를 할 지 고민을 했고, 상의를 통해 11월7일로 결론이 난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종무기자 ykjmf@yeongnam.com


    김석기........ 기억하시나요?
    모르신다면....


    경상북도 영일군(현.포항시) 출생으로 대구 대륜고,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거쳐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경찰행정학과를 졸업했다. 1979년 경찰간부후보생을 수석 졸업하여 경위로 임관 되었다.

    일본 경찰대학 유학과 오사카 총영사관 영사와 도쿄주재관 등으로 7년간 근무한 경력이 있어 경찰 내에서 '일본통'으로 통했다.
    인천 연수,서울 수서서장, 경북지방경찰청장, 대구지방경찰청장, 경찰종합학교장, 경찰청 차장을 거쳐 2008년 7월 서울지방경찰청장으로 부임하였다.

    2009년 1월 어청수 경찰청장이 자진사퇴하자 경찰청장에 내정되었으나, 용산 철거 현장 화재 사고 이후 2월 9일 사퇴하였다.[2]
    후임으로 고려대학교 법학과 출신의 강희락이 2월 16일 내정되었으며[3], 3월 9일 제15대 경찰청장으로 공식 취임했다.[4]
    7년간의 일본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2011년 2월 16일 일본 주오사카 총영사에 임명되었다. [5]


    용산 참사의 주역이죠...

    아마도 경주에서 여당 공천을 받으면 국회의원이 될겁니다.



    원문 : http://blog.joinsmsn.com/media/folderListSlide.asp?uid=ooyaggo&folder=18&list_id=12449020
    기사 :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11109.010040722030001

    한은, 2014년 국민계정에 '공공부문 부채' 포함 땐 국가부채 비율 34% →100% 폭증

    원본게시날짜 :

    입력시간 : 2011.11.10 17:56:22
    수정시간 : 2011.11.11 01:20:28



    한은, 2014년 국민계정에 '공공부문 부채' 포함 땐 국가부채 비율 34% →100% 폭증

    IMF 새 기준 초안 반영







    한국은행이 국민계정(SNA)에 정부 부채와 함께 비금융 공공기관, 금융 공공기관, 통화안정증권, 공적연금 부채 등을 아우르는 '공공부문 부채'를 신설해 포함시키기로 했다.

    나랏빚(국가부채) 산정방식과 규모를 둘러싸고 논란과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한은이 광의의 국가부채에 해당하는 공공부문 부채를 국민계정에 포함하기로 함에 따라 현행 국내총생산(GDP) 대비 34.4%인 국가부채 비율이 사실상 100.0%를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또 여당과 야당을 막론하고 정치권에서 복지 포퓰리즘 정책이 대거 쏟아지는 상황에서 넒은 의미의 국가부채가 발표될 경우 급증하고 있는 국가부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한은 고위관계자는 10일 "국제통화기금(IMF)이 개별 국가마다 서로 다른 국가부채 산정기준을 단일화하거나 통일하는 초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IMF 초안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도 이에 준해 공공부문 부채를 산정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기획재정부와 부채 범위를 놓고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새로 만들어지는 공공부문 부채는 자금순환표 및 국민소득통계ㆍ산업연관표ㆍ국제수지표ㆍ국민대차대조표 등 국민계정에 반영하기로 했다"며 "공공부문 부채에 포함시켜야 할 항목을 조사하고 있으며 2014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재정부는 일반정부 부채만 떼어내 국가부채로 산정하고 있지만 한은은 정부 부채에다 공공기관 부채와 통안채ㆍ공적연금 부채를 모두 묶어 국가부채 자료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한은이 국민계정에 공공부문 부채를 신설하면 현재 392조8,000억원인 국가부채 규모는 이보다 3배가 많은 1,240조원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우리나라 국가부채가 안심해도 좋을 만큼 낮은 수준이라고 강조하지만 광의의 국가부채가 일목요연하게 발표되면 나랏빚 전체의 규모와 심각성이 드러나는 만큼 국민경제에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현재 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33.4%에 불과하다. 하지만 공공부문 부채를 모두 포함하면 국가부채 비율은 106%까지 치솟는다. 공공부문 부채에 해당하는 내용을 항목별로 보면 ▦정부 부채 392조8,000억원(지난해 말 기준) ▦비금융 공공기관 부채 353조원(한은 6월 말 기준) ▦금융 공공기관 부채 326조4,000억원(지난해 말 기준) ▦통화안정증권 169조원(7월 말 기준) 등 총 1,240조원에 달한다. 한은 자금순환표상 일반정부에 속하는 국민연금ㆍ공무원연금 등 사회보장기구의 부채(차입)도 공공부문 부채로 분류되는 점을 감안하면 광의의 국가부채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원문 :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111/e2011111017562270070.htm

    기자 : 서정명기자 vicsjm@sed.co.kr

    日 교수 "MB, 국익 내주고 미국에서 국빈 대접"

    원본게시날짜 : 기사입력 2011-11-11 오전 8:28:26


    [해외 시각] "한미 FTA, 한국에 극단적으로 불리한 '독만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을 놓고 여야가 대립하는 가운데 일본의 전 경제산업성 관료가 "한미 FTA는 한국에 극단적으로 불리한 '독만두'가 들어있는 협상"이라고 경고주목된다. 이 나가노 다케시 교토 대학 교수의 경고는 한미 FTA를 추종하는 이명박 정부, 여당 의원의 주장과는 정반대다.

    나가노 교수는 지난 2011년 10월 24일 일본 경제 잡지 <다이아몬드> 온라인 판에 실린 기고에서 "일본 정부가 추진 중인 'TPP(환태평양 경제 제휴 협정)'를 지지하는 일본인은 "라이벌 한국이 한미 FTA에 합의했기 때문에 일본도 늦어서는 안 된다"고 선동해왔다"며 "한미 FTA의 무참한 결과를 보면 현실은 정반대"라고 설명했다.

    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 통합을 목적으로 농산물, 공산품, 금융·의료 서비스, 지적 재산권 등 모든 분야에서 무역 장벽을 철폐하는 높은 단계의 무역 협정이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칠레, 브루나이에 이어서 미국 등이 추가 가입 의사를 밝히면서, 사실상 '미일 자유무역협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나가노 교수는 이 TPP의 전문가로 꼽힌다.

    애초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는 10일 이 TPP 협상 참여를 결정하기로 했으나, 민주당 자민당 등 여야 의원이 강하게 반대해 결정을 하루 연기했다. 그러나 노다 총리는 "TPP 참여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혀 이르면 11일 중으로 TPP 협상 참여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일본에서 사실상의 미일 FTA를 놓고 치열한 찬반 논란이 벌어질 전망이다.

    나가노 교수는 "한국은 미국에서의 별 실효성이 없는 미국에서의 관세 철폐를 보장받는 대신에 '역진 방지' 규정 '투자자-국가 소송(ISD)' 제도 등과 같은 두려운 조항을 받아들였다"며 "특히 ISD 제도는 각국이 자국민의 안전, 건강, 복지, 환경 등을 위해 자신의 기준을 가지고 결정하지 못하는 '치외법권' 규정인데, 안타깝게도 한국은 이 조항을 받아들였다"고 지적했다.

    나가노 교수는 "일본 정부는 ISD 제도가 '독만두'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다"며 "TPP 추진론자는 오바마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을 국빈으로 초대해 성대한 환영을 베푼 것을 부러워하고 있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자국의 국익을 미국에 내어준 대가로 미국에서 환영을 받는 것은 당영한다"고 이명박 정부를 조롱했다.

    나가노 교수는 "일본도 TPP에 참가하게 되면 노다 수상도 미국에서 국빈 대접을 받을 것이고 정부, 매스미디어는 '일미 관계가 개선되었다'고 기뻐할 것"이라며 "그러나 그 과도한 어리석음의 대가는 엄청난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음은 나가노 교수가 <다이아몬드>에 기고한 글의 주요 내용이다. <편집자>



    ⓒ연합뉴스

    TPP 교섭에 일본이 참가할 것인가에 대한 결론이 11월 상순까지 나온다. 중대한 상황인데도 TPP에 관한 정보는 부족하다. 그러나 TPP의 정체를 파악하는 데에 아주 좋은 분석 대상이 있다. 그것은 TPP 추진론자들이 선망하는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이다.

    한미 FTA가 좋은 참고가 되는 이유는 TPP가 실질적으로는 일미 FTA이기 때문이다. TPP 추진론자들은 "라이벌 한국이 한미 FTA에 합의했기 때문에 일본도 늦어서는 안 된다"고 선동해왔다. 그러나 한미 FTA를 보면, TPP에 참가하는 것이 일본에 무엇을 가져다 줄 것인지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정부도, TPP 추진론자도, 한미 FTA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한미 FTA는 한국에 극도로 불리한 결과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그러면, 한미 FTA의 무참한 결말이 어떤 것인가를 일본이 처한 상황과 대비하면서 보자.

    우선, 한국은 무엇을 얻었는가. 물론 미국에서의 관세의 철폐이다.

    그러나 한국이 수출을 할 수 있는 공업 제품에 대한 미국 쪽의 관세는 이미 충분히 낮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겨우 2.5퍼센트, 텔레비전은 5퍼센트 정도밖에 안 된다. 게다가, 미국 쪽의 2.5퍼센트 자동차 관세 철폐는 만일 미국산 자동차의 판매나 유통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고 미국 기업이 판단하는 경우에는 무효가 된다는 조건이 붙어있다.

    원래 한국은 자동차도, 전기 전자 제품도, 이미 미국에서의 현지 생산을 추진해왔기 때문에 관세의 존재는 기업 경쟁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 이것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글로벌화에 의해 해외 생산이 진전되어 있는 현재, 제조업의 경쟁력은 관세가 아니라 통화 가치로 결정된다. 즉, 한국 기업의 경쟁력은 작금의 낮은 원화 가치 덕택이고, 일본 수출 기업의 부진은 높은 엔화 가치(円高) 때문이다. 더 이상 관세는 문제가 안 된다.

    그런데 한국은 이런 무의미한 관세 철폐의 대가로 자국의 자동차 시장에 미국 기업이 들어오기 쉽도록 제도를 변경할 것을 요구받았다. 미국의 자동차 업계가 한미 FTA로 인한 관세 철폐에 대한 대가를 미국 정부에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은 배출량 기준 설정에 있어서 미국의 방식을 도입하는 것과 함께 한국에 수입되는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서 배출 가스 진단 장치 장착 의무나 안전 기준 인증 등 일정하게 부과되는 의무 사항을 면제해주었다. 즉, 자동차의 환경·안전에 관한 한국의 기준을 지킬 수가 없게 되었다. 또, 경쟁력 있는 미국산 대형차에 대한 세금 부담을 경감해주었다.

    쌀 자유화는 일시적으로 피하더라도 앞으로 개방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쌀 자유화는 피했지만, 그 이외는 실질적으로 전부 자유화되었다. 해외 생산을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에 있어서 관세는 무의미하지만, 농업을 보호하는 데는 관세가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제조업을 지키고자 하는 미국과 농업을 지키고자 하는 한국이 상호 관세를 철폐하면 그 결과는 한국에는 불리해지는 것으로 끝난다. 이것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더욱이, 유일하게 자유화를 피한 쌀은 미국 최대의 쌀 생산지인 아칸소 주 출신 의원이 불만을 표명하고 있다. 미국 통상 대표도 금후 한국의 쌀 시장을 개방하도록 노력하고, 또 금후의 통상 교섭에서는 예외 품목을 설정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 즉, TPP 교섭에서는 쌀도 예외가 아닐 것이라는 말이다.

    이밖에, 법무, 회계, 세무 서비스에 있어서 미국인이 한국에서 사무소를 개설하기 쉽도록 한국의 제도가 변경되게 되었다. 지적 재산권 제도는 미국의 요구를 전부 받아들였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미국 기업이 한국의 웹사이트를 폐쇄하는 게 가능해졌다. 의약품에 있어서는 미국의 의약품 제조업자가 자기 회사 의약품의 가격이 낮게 결정되었을 경우, 그것에 불복해서 한국정부에 시정을 요구할 수 있는 제도가 만들어졌다.
    농업협동조합이나 수산업협동조합, 우체국, 신용금고가 제공하는 보험 서비스는 미국의 요구대로 협정 발효 후 3년 이내에 일반 민간 보험과 동일하게 취급되도록 결정되었다. 원래 공제(共濟)라는 것은 직업이나 주거지 등 공통점을 가진 사람들이 자금을 분담해서 무슨 일이 있을 때 그 자금으로 돕는 상호부조 사업이다. 그것이 해체되고, 서로의 생활을 돕기 위한 자금이 미국의 보험 회사에 흡수되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

    한미 FTA에는 래칫(역진 방지) 규정과 ISD 조항, 그 외에 두려운 조항이 들어있다.
    래칫이라는 것은 한쪽 방향으로밖에 움직일 수 없는 톱니를 가리킨다. 조약 체결국이 나중에 무슨 사정으로 시장 개방을 과도하게 했다고 생각하더라도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규정이다. 이 래칫 규정이 들어가 있는 분야를 보면, 예를 들어, 은행, 보험, 법무, 특허, 회계, 전력, 가스, 택배, 전기 통신, 건설 서비스, 유통, 고등 교육, 의료 기기, 항공 수송 등 다양하게 걸쳐있다. 어느 것이라도 미국 기업에 유리한 분야들뿐이다.

    덧붙여, 앞으로 한국이 다른 나라와 FTA를 체결할 경우, 그 조건이 미국에 대한 조건보다도 유리한 경우는 미국에는 같은 조건을 적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규정까지 들어가 있다.

    또 하나 특기할 것은, 한국이 ISD(투자자-국가 소송) 조항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 ISD는 어떤 국가가 자국의 공공 이익을 위해 제정한 정책에 의해 해외 투자가가 불이익을 입은 경우에는 세계은행 산하의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라는 제3기관에 소(訴)를 제기할 수 있는 제도이다.

    그러나 이 ISD 조항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ISD 조항에 기초하여 투자가가 정부를 제소하는 경우, 수명의 중재인이 이것을 심사한다. 그러나 심리(審理)의 관심은 어디까지나 "정부의 정책이 투자가에 어떤 정도의 피해를 주었는가"라는 점에 국한될 뿐, "그 정책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필요한 것인가 어떤가"는 고려되지 않는다. 게다가 그 심사는 비공개로 행해지기 때문에 불투명하고, 기존 판례에 의한 구속을 받지 않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능하다.

    이 심사 결과에 불복할 점이 있어도 상소를 할 수 없다. 가령 심사 결과에 법 해석의 오류가 있다 하더라도 국가의 사법 기관은 이것을 시정할 수 없다.

    이 ISD 조항은, 미국과 캐나다멕시코 간의 자유무역협정인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에서 도입되었다. 그 결과, 국가 주권이 침범되는 사태가 잇달아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는 어떤 신경성 물질을 연료도 사용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그와 같은 규제는 유럽이나 미국의 거의 모든 주(州)에도 있다. 그런데, 미국의 어떤 기업이 이 규제로 불이익을 입었다고 해서 ISD 조항에 근거하여 캐나다 정부를 제소했다. 그리고 심사 결과, 캐나다 정부는 패소하여 거액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이 규제를 철폐하는 수밖에 없었다.

    또, 어떤 미국의 폐기물 처리업자가 캐나다에서 처리를 한 폐기물(PCB)을 미국 국내로 수송하여 리사이클한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캐나다 정부는 환경적인 이유로 미국에의 폐기물 수출을 일정 기간 금지했다. 이에 대해 미국의 폐기물 처리업자는 ISD 조항에 따라 캐나다 정부를 제소했고, 캐나다 정부는 823만 달러라는 배상금을 지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멕시코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지역에 어떤 미국 기업이 유해 물질 매립지를 세우려는 것에 대해서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그 허가를 취소했다. 그러자 이 미국 기업은 멕시코 정부를 제소하여 1670만 달러라는 배상금을 획득하는 데 성공했다.

    요컨대, ISD 조항이라는 것은 각국이 자국민의 안전, 건강, 복지, 환경 등을 위해 자신의 기준을 가지고 결정하지 못하는 '치외법권' 규정인 것이다. 안타깝게도, 한국은 이 조항을 받아들이고 말았다.

    일본 정부는 어리석게도 ISD 조항이 '독만두'라는 것을 모르고 나아가려 하고 있다.
    일본 정부나 TPP 추진론자들은 "교섭에 참가하여 룰을 유리하도록 하면 된다" "불리한 사항에 대해서는 양보하지 않으면 된다"고 하면서 "우선은 교섭 케이블에 앉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TPP 교섭에서 일본이 얻을 수 있는 것은 미미한 것임에 비해서 지키지 않으면 안 될 것은 허다하다. 그러한 일방적인 방어전이 될 교섭 과정을 통해서 어떤 결말이 나올지는 한미 FTA의 결과를 보면 명확하다.

    노다 수상은 한국 대통령처럼 미국에서 환영을 받으면 만족할 것인가?
    이와 같이 무참하게 끝난 한미 FTA이지만, 한국 국민은 거의 정보를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상황도 현재 일본과 그대로 닮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을 국빈으로 초대하여 성대한 환영을 베풀었다. TPP 추진론자들은 이것을 부러워한 나머지 일본도 TPP에 참가하여 일미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부채질하고 있다.

    그러나 자국의 국익을 미국에 내어준 대가로 한국 대통령이 미국에서 환영받는 것은 당연하다. 일본도 TPP에 참가하게 되면 노다 수상도 미국에서 국빈 대접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정부나 매스미디어는 "일미 관계가 개선되었다"고 기뻐할 것이다. 그러나 그 과도한 어리석음의 대가는 엄청난 것이 될 것이다.











    원문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11111072304&section=01&t1=n




    병 걸렸냐? 동아일보

    원본게시날짜 : 기사입력 2011-11-11 03:00:00 기사수정 2011-11-11 09:59:55



    영남 60% “물갈이 해야”… 총선판도 대변화 예고
    대선 가상 양자대결선 安 47.7% vs 박근혜 38.3%




    내년 4월 11일 치러질 19대 총선에서 기존 정치권의 판도를 완전히 뒤바꿀 대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예고됐다. 동아일보가 총선 D-5개월을 맞아 전국의 총선 민심을 조사한 결과 ‘현역 의원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 요구’와 ‘안철수 교수에 대한 강한 지지 여론’이 확인됐다.

    내년 12월 치러지는 대선 가상대결에서는 안철수 서울대 교수가 47.7%의 지지를 얻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38.3%)보다 9.4%포인트 앞섰다. 이는 안 교수가 지난달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정치 전면에 등장한 이후 1000명 이상의 유권자를 상대로 실시한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서 가장 큰 격차로 박 전 대표를 앞선 것이다.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가 4∼8일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4000명을 대상으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지적됐던 유선전화 조사방식의 부정확성을 보완하기 위해 휴대전화 사용자를 절반 이상 포함시켜 신뢰도를 높였다. 유선전화와 휴대전화를 결합해 RDD 방식으로 전국 단위 여론조사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서 ‘내년 총선에서 현역 의원이 아닌 다른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36.3%로 ‘현역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 20%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았다. 다만 무응답층이 43.7%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42.3%는 물갈이 이유로 ‘현 정부에 대한 실망’을 꼽았으며 27.7%는 ‘다른 인물이 더 나을 것 같다’고 답했다.

    ‘총선 물갈이 여론’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특히 한나라당의 텃밭으로 여겨진 영남에서는 ‘총선에서 대폭적인 물갈이에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60%를 넘었다. 부산·울산·경남(PK·64.6%)이 대구·경북(TK·60.3%)보다 개혁 공천 요구가 더 강했다.

    특히 ‘안철수 신당’이 내년 총선 전 창당해 후보를 낼 경우 가장 많은 지지를 얻을 것으로 조사됐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당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안철수 신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자는 36.2%였고 한나라당 후보 지지자는 23.4%, 민주당 등 야권 후보 지지자는 16%였다.
    내년 차기 대선 가상대결에서도 안 교수가 박 전 대표를 큰 격차로 앞섰다. 특히 수도권에서 안 교수 지지율이 50.9%였고 호남에서는 70.8%를 얻었다.

    다만 다자대결 구도에서는 박 전 대표(34.7%)가 여전히 안 교수(23.5%)를 앞섰다. 그 뒤를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6.8%), 손학규 민주당 대표(4.7%), 김문수 경기지사(3.8%) 등이 이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5%포인트다.











    원문 :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11111/4179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