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9월 23일 금요일

4대강 적자 메우려…수공, 수돗물값 ‘매년 3%씩’ 인상 계획

등록 : 20110922 20:11 | 수정 : 20110923 08:20


김진애 의원 국감자료 공개
‘7년간 4천억’ 수익 전략…‘친수구역 원형지’ 매각도 추진
» 수자원공사 상하수도 영업이익 전망치
한국수자원공사가 8조원을 들인 4대강 사업 투자에 따른 경영 부실을 만회하기 위해 내년부터 해마다 수도요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또 4대강 친수구역 개발 사업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원형지 공급을 허용해줄 것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어서 이에 따른 특혜 논란이 예상된다.
22일 수자원공사가 작성한 ‘중장기전략경영계획’을 보면, 수공은 광역상수도와 지방상하수도 등 수도요금을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3%씩 인상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수공의 광역상수도 부문 영업이익은 2012년 721억원에서 2019년 3225억원으로 2504억원이 늘어난다. 지방상수도 부문의 영업이익 역시 2012년 101억원에서 2019년 1698억원으로 1597억원이나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대전 수자원공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김진애 의원(민주당)은 “4대강 사업 참여로 부채가 증가하고 재무건전성이 악화되자 물값을 올리는 방법으로 국민에게 부담을 전가시키겠다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2007년 1조5756억원이었던 수공의 부채는 지난 6월 말 현재 6배 이상 늘어난 10조8862억원에 이른다.
수공은 또 4대강 친수구역 조성사업의 재원 조달과 투자비 회수를 위해 사업 손실 보전, 원형지 공급 등을 추진하기로 2010년 12월 자체 연구용역을 통해 방침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원형지 공급이란 친수구역 개발 예정지에 택지를 조성하지 않고 민간업체 등에 원래 땅 그대로 매각할 수 있다는 뜻으로,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수공에 대한 특혜 시비가 일 것으로 보인다.
대전/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원문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497504.html


최시중 "버시바우 만났다…현인택이 얘기했을 것"

입력 : 2011-09-23  00:34:53   노출 : 2011.09.23  00:36:33

‘2008년 방미 앞서 쇠고기 개방 약속’ 위키리크스 문건 일부 시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의 방미에 앞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의 개방을 약속한 인사가 자신이 아니라 현인택 전 통일부 장관으로 추정된다'는 입장을 22일 밝혔다. 이 대통령의 방미와 쇠고기 시장 개방은 별개라고 주장한 청와대측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최시중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종원 민주당 의원이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 국부무 외교전문을 인용해 '최 위원장과 현인택 전 장관이 인수위 시절인 2008년 초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를 만났는지' 묻자, "그렇다"며 "그 때 몇 사람이 저녁(식사)인 걸로 생각되는 만찬을 했다"고 답변했다.
최시중 위원장은 또 최 의원이 '당시 버시바우 대사를 만나 미 쇠고기 개방에 대해 얘기했는지' 묻자, "의제를 놓고 회의한 게 아니고 다양한 현안들에 대해서 (얘기했다)"며 "여러 정치-외교적 현안에 대해서 주로 현인택씨 하고 버시바우 대사가 얘기 했다"고 말했다.

▲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이치열 기자 truth710@mediatoday.co.kr


최종원 의원이 '현인택 장관이 쇠고기 협상에 대해서 얘기했는지' 묻자, 최시중 위원장은 " 얘기했다면 그렇게 됐을 것"이라며 "저는 그 부분에 대해서 전문적인 식견이 없기 때문에 그저 이렇게 뭐랄까요, 지켜보고 있었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런 문제를 비롯해서 여러 다양한 이야기, 공적 사적 문제를 다 논의했기 때문에 쇠고기냐 살이냐 구체적인 팩트에 대해서 논의한 기억이 잘 없다"고 덧붙였다.

또 최시중 위원장은 당시 버시바우 대사를 만나 정치-외교 현안을 논의한 것을 두고 부적절한 처사라는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종원 의원이 "인수위원회 자문 위원들, 고문, 취임식 위원들 이런 분들이 벌써 버시바우 대사를 만나 권력을 잡고 행동하는 것처럼 하면서 쇠고기 협상까지 할 정도의 이런 파워를 보였다"며 "결국 그 단초가 전국의 촛불시위가 됐고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문까지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최 위원장 "최 의원의 자유로운 발상으로 생각하겠다"며 "그 문제에 대해서 그렇게 동의하지는 못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최시중 위원장이 당시 쇠고기 협상과 현인택 장관과의 연루 가능성을 제기한 것은 그동안 한-미 정상회담 직전에 적격 타결된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과 이 대통령의 방미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정부 주장과는 배치되는 것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 국무부 외교전문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인수위에서 활동하던 최시중 현 방통위원장과 현인택 현 통일부 장관은 2008년 1월17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와 점심을 먹으면서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 문제를 논의했다.
현 장관은 버시바우 대사에게 총선이 끝난 직후인 4월이 방미의 가장 적당한 시기이며, 캠프 데이비드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면 이상적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한국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재개한 이후, 4월에 이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한다면 더 좋을 것”이라고 말했고, 현 장관은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앞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한국 시장이 개방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 전문에 대해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2008년 이 대통령의 방미와 쇠고기 시장 개방은 별건이다. (현인택 장관의 발언은) 아마 개인의 생각이나 추측이 아닐까 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22일 국정감사에서 진행된 최종원 의원과 최시중 위원과의 질의 응답 전문이다.
최종원: 위키리크스가 9월4일 공개한 미 국무부 외교 전문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인수위에서 활동하던 최시중 위원장과 현인택 통일부 장관이 2008년 1월17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와 점심을 먹으면서 이 대통령의 미국 방문 문제를 논의했죠. 현인택 장관은 총선이 끝난 4월이 방미의 가장 적당한 시기이며 캠프데이비드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면 아주 이상적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이에 버시바우 대사는 한국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재개한 이후 4월에 미국을 방문한다면 더 좋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 장관은 쇠고기 이슈에 대한 민감성을 이 당선인이 잘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 대통령의 방문에 앞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한국 시장이 개방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최 위원장. 위키리크스의 최시중 위원장 관련 공개 문서에 대해 알죠?
최시중: 네. 알고 있습니다.
최종원: 사실관계를 확인해달라는 내용을 봤더니, 2008년 1월 초에 현인택 통일부 장관과 함께 버시바우 주한 미대사를 만난 적 있죠?
최시중: 그렇습니다.
최종원: 이 자리에서 쇠고기 개방에 대한 논의를 한 적 있죠?
최시중: 그 때 몇 사람이 저녁인 걸로 생각되는 만찬을 했는데.
최종원: 쇠고기 개방 얘기한 적 있죠?
최시중: 그 때 무슨 얘기를 나눴는지. 의제를 놓고 회의한 게 아니고 다양한 여러 현안들에 대해서(얘기했다).
최종원: 쇠고기 개방에 대해서 얘기한 적 있잖아요? 현인택 장관이나 최시중 위원장 둘 중의 한 사람이 얘기했잖아요?
최시중: 위키리크스 공개된 문건을 보니까.
최종원: 인수위 시절 최시중 위원장과 현인택 장관은 쇠고기와 관련한 협상을 할 자격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대통령 인수위 시절 역할이 뭐였죠? 취임 준비위원회 위원이었죠?
최시중: 아니었습니다.
최종원: 인수위 시절 역할이 뭐였습니까.
최시중: 고문이었습니다.
최종원: 고문이었습니까? 취임준비 위원으로 된 것 맞잖아요?
최시중: 예.
최종원: 취임 준비위원회 위원이 버시바우 대사를 만나 민감한 사안인 쇠고기 협상을 했는데 이런 부분이 맞다고 생각하세요?
최시중: 하여튼 여러 정치-외교적 현안에 대해서 주로 현인택씨하고 버시바우 대사가 얘기했고 저는 그 문제의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한 걸음 떨어져서.
최종원: 현인택 장관이 쇠고기 협상에 대해서 얘기했다는거죠?
최시중: 얘기했다면 그렇게 됐을 겁니다. 저는 그 부분에 대해서 전문적인 식견이 없기 때문에 그저 이렇게 뭐랄까요 지켜보고 있었다고 할까요. 그런 입장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문제를 비롯해서 여러 다양한 이야기, 공적 사적 문제를 다 논의했기 때문에 쇠고기냐 살이냐 구체적인 팩트에 대해서 논의한 기억이 잘 없습니다.
최종원: 그러니까 벌써 인수위원회 자문 위원들, 고문, 취임식 위원들 이런 분들이 벌써 버시바우 대사를 만나 권력을 잡고 행동하는 것처럼 하면서 쇠고기 협상까지 할 정도의 이런 파워를 보였으니까, 결국은 그 단초가 전국의 촛불시위가 됐고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문까지 발표했어요. 그래서 제 생각은 '이명박 대통령이 출범하며 삐걱거리게 된 장본인이 최 위원장 내지는 현 통일부 장관 같은 잘못된 사고를 가진 분들이 저지른 일이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최시중: 그것은 뭐 최 의원의 자유로운 발상으로 생각하겠습니다. 그러나 그 문제에 대해서 그렇게 동의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최종원: 동의하지는 않으신다고요?
최시중: 예. 그렇습니다.





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520


돈 받은 정권 실세 2~3명 더? '신재민 폭탄' 터지나

입력 : 2011-09-23  08:28:10   노출 : 2011.09.23  08:29:55



중견기업인 SLS그룹의 이국철 회장이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에게 10여억 원의 금품을 건넸다고 폭로한 데 이어 22일 기자들과 만나 “박영준 전 차관이 국무총리실 차장 시절 총리를 수행해 일본 출장을 갔을 때 그룹 현지법인에서 400만~500만원 상당의 향응 접대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이 씨는 청와대 고위간부 등 현 정권 실세 3명에게도 향응과 금품을 건넸다고 말했다. 서울신문은 해당 ‘실세’가 박 전 차장을 포함해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 임재현 청와대 정책홍보비서관이라고 실명 보도했다.

▲ 9월 23일자 한국일보 1면.











'자유민주주의' 논쟁… 교과위 파행



입력시간 : 2011.09.23 02:36:32
수정시간 : 2011.09.23 08:41:17



박영아 "부정하는 의원은 북한으로" 야 "시대착오적 색깔론… 사과하라" 정회 요구
여 "곽노현 국감 막으려는 억지 논리" 비난




22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국정감사는 때 아닌 '자유민주주의' 논란으로 한 시간 만에 중단되는 파행을 겪었다.

지난 19일 교육과학기술부 감사에서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이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국회의원이 있다면 북한에 가서 국회의원 하십시오"라고 한 발언이 발단이 됐다. 당시 민주당 김유정 의원이 새 역사 교육과정 고시 과정에서 교과부가 '민주주의'란 용어를 '자유민주주의'로 변경한 것에 대한 절차적 하자를 지적하자, 박 의원이 이렇게 응수하면서 논란을 빚었다.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이날 국감 시작에 앞서 "절차적 문제를 지적한 것을 두고 일부 한나라당 의원이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한 것이라며 심지어 북한으로 보내야 한다는 극단적 발언을 하고 있다"고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간사인 서상기 의원은 "속기록에는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국회의원이 있다면'이라고 전제가 돼 있다"며 "이것으로 시비할 게 있느냐"고 반문하며 진화에 나섰다. 같은 당 권영진 의원도 "박영아 의원의 발언에 대해 야당 의원들이 오해하고 불편해 할 수 있지만 전제가 있지 않느냐"고 거들었다.

하지만 민주당 간사인 안민석 의원은 "박 의원은 사과하고 다른 상임위로 옮겨달라"면서 "사과하지 않으면 국감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고 정회를 요구했다. 이후 일정에 대한 협의도 없이 감사는 그대로 중단됐다.

이어 교과위 야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갖고 "야당에 시대착오적 색깔론을 덧씌우고 있다"며 박 의원의 사과, 해당 발언의 속기록 삭제 등을 요구했다. 또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자유민주주의란 용어를 교과서에 등재하는 것을 두고 교과위 민주당 의원들이 반발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법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처사"라고 한 발언에 대한 사과도 요구했다.

이에 맞서 교과위 한나라당 의원들은 "민주당이 억지 논리로 파행시켜 23일 서울시교육청 감사를 통한 곽노현 교육감의 비리를 알릴 기회를 봉쇄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측의 사과 수용 여부를 둘러싸고도 여야가 맞서고 있어 교과위 국감 파행은 당분간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문 :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109/h2011092302363221000.htm

-------------------------------------------------------------------------------



22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동북아역사재단 등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12개 기관에 대한 국정감사는 ‘자유민주주의’를 둘러싼 논쟁에 휘말리며 파행을 빚었다.

발단은 19일 교과부 감사에서 나온 한나라당 박영아 의원의 발언이었다. 당시 새 역사 교육과정 고시안에 ‘민주주의’란 용어 대신 ‘자유민주주의’를 채택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이 과정에서 박 의원은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는 대한민국 국회의원이 있다면 북한에 가서 국회의원 하십시오. 북한 인민민주주의공화국에 가서 대표 하십시오”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뒤늦게 여야 의원 간에 격한 논쟁을 불러왔다. 야당 의원들은 ‘매카시즘’(1950년대 미국을 휩쓴 광적인 반공산주의 열풍)이라며 박 의원의 사과를 요구했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자기 생각과 맞지 않는다고 동료 의원에게 북으로 가라고 해서야 되겠느냐. 사과할 때까지 국감을 할 수 없다”며 정회를 요청했다. 무소속 유성엽 의원은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면 인민민주주의라고 보는 것은 무지의 소산”이라며 “말로만 자유민주주의이지 유신독재 시절 한국적 민주주의를 말하는지도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여당 의원들은 단지 가정이었을 뿐 야당 의원을 직접 지칭한 것은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이날 국감은 피감 기관장들을 대기시킨 채 언쟁만 주고받다 개회 1시간 10분여 만에 정회가 선언됐다. 야당 의원들은 이후 기자회견을 열고 “박 의원의 사과와 국회 속기록 삭제,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의 사과가 있기 전에는 국감에 응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홍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용어를 교과서에 등재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두고 일부 사학자와 국회 교과위의 민주당 의원들이 반발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법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처사”라고 강조했다.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원문 :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10922/40536335/1

MB “박근혜, 어려서 부모 잃어 유머감각 없어”


기사입력2011-09-23 08:09기사수정 2011-09-23 08:34 



【서울=뉴시스】안호균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해 “어린 나이에 부모님을 잃었기 때문에 유머 감각이 없다”고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폭로 전문 웹사이트 위키리크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이던 2006년 3월 알렉산더 버시바우 당시 주한 미국대사를 만나 “박근혜 대표가 한낱 농담에 불과한 것을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며 이같이 평가했다.

버시바우 대사는 이 대통령을 만난 뒤 ‘이명박 시장을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미국 정부에 이같은 사실을 보고했다.

이 보고서는 “(이 시장은) 여당(열린우리당)과 노무현 대통령을 공격하는 데 집중해야 했기 때문에 박 대표에 대한 비판을 아꼈다”라고 분석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시장 임기를 3개월여 남겨두고 박 전 대표와 대선후보 경쟁을 시작하고 있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라크의 후세인 대통령을 잘 안다”고 밝혔고, “노무현 대통령이 대선용으로 북한과 회담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ahk@newsis.com



원문 : http://www.fnnews.com/view_news/2011/09/23/11092308344111.html









수자원공사가 청와대에 올린 ‘언론대응 보고서’ 단독입수


언론보도·인터넷여론 ‘조작’ 의혹
2011-09-22 오후 1:19:35 게재




"기획특집으로 부정적 언론 이슈 차단" … "온라인 상 부정여론 댓글 대응"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경인운하(경인아라뱃길)에 대한 비판적 여론을 차단하기 위해 언론보도와 인터넷여론을 '조작'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수자원공사는 이같은 내용을 청와대에 수시로 보고한 것으로 확인돼 청와대 묵인 아래 '여론조작'을 시도한 셈이 됐다. 이같은 사실은 수자원공사가 청와대에 보낸 '언론대응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내일신문은 이 보고서를 단독입수했다.

◆청와대 행정관에 수시보고 = 수자원공사는 지난 19일 청와대에 보낸 A4 용지 1장짜리 '국감관련 언론보도 대응실적' 보고서에서 민주당 홍영표 의원이 낸 '경인아라뱃길 운영 적자' 국감자료에 대해 △설명자료 배포 △온라인 상 부정여론 댓글 대응을 했다고 보고했다. 온라인에 홍 의원이 낸 자료를 근거로 한 기사나 글이 올라오면 수자원공사측이 직접 댓글을 달아 부정여론이 확산되는 걸 차단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기획특집 추진을 통해 부정적 언론 이슈 차단 △신속한 온라인 대응으로 왜곡내용 해명이라는 내용의 부처 자체평가도 내렸다. 언론사들이 경인운하에 대해 우호적인 내용의 기획특집을 해주면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부정적 언론보도를 사전차단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21일 청와대에 보낸 A4용지 2장짜리 보고서에서도 수자원공사는 민주당 홍영표 의원과 민노당 강기갑 의원의 국감자료를 사전에 입수해 검토했다고 밝혔다. 언론에 배포되지도 않은 국감자료를 사전에 입수해 대응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또 △아라뱃길 관련 기획특집(물류 및 관광레저 등 생산유발 효과 기대) △아라뱃길 공사현장사진 △아라뱃길 마라톤대회 홍보 등 '국감 대비 일반 언론 대응활동'을 했다고 적시했다. 실제 최근 중앙일간지와 인천지역 지방지에는 경인운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전망을 내놓는 '기획기사'와 사진이 자주 실렸다. 일부 언론사는 수자원공사의 후원을 받아 대규모 마라톤대회를 추진하고 있다. 수억원대 예산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4대강사업과 경인운하사업을 하느라 13조4200억원(강기갑 의원 자료)이란 천문학적 부채를 지고 있는 수자원공사가 비판 보도를 막기 위해 막대한 혈세를 쓰고, 직원들을 동원해 인터넷여론까지 움직이려 한 게 사실로 확인될 경우 거센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이 전 과정을 청와대가 수시로 보고받았음에도 묵인했다는 점은 사태의 심각성을 더한다.

◆"청와대와 협의 없었다" = 청와대와 수자원공사는 보고서의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언론과 인터넷여론을 조작하려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언론사 주최 마라톤대회 후원 등) 이런 빌미로 해서 언론사에 작업하고 기사에 영향 미치고 이런 것은 정말 아니다"라며 "온라인상 글이 정확한 사실이 아닐 경우 홍보실 직원들이 댓글을 다는 경우는 있지만 사람을 고용하거나 조직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 보고와 관련, "(보고서) 자체나 기획특집 이런 부분은 청와대와 협의한 게 아니다"라며 "청와대에 나름 홍보활동을 자랑하고 싶어서 자료(보고서)가 나갔던 것이지, 협의하고 일하는 차원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감에서 의원이 얘기하니까 (수자원공사가) 자체적으로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내부방향을 정리한 것 같은데, 우리한테 보고할 필요가 없었다"며 "우리가 그런 걸 보내라고 한 적도 없다"고 말했다.
성홍식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원문 :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sid=E&tid=9&nnum=625475













신재민 前차관 금품수수 의혹 파문



입력시간 : 2011.09.23 02:34:34
수정시간 : 2011.09.23 09:44:39




靑·한나라 "도덕성 치명타 입나" 당혹
민주 "정권 블랙아웃 가까워" 수사 촉구
■ 신재민 前차관 금품수수 의혹 파문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비리에 연루됐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청와대를 비롯한 여권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어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캠프 출신인 신 전 차관까지 금품수수 의혹에 휘말리자 "측근 비리는 없다"면서 공정사회를 외치던 청와대의 도덕성이 치명타를 입게 될 것을 우려했다.

청와대는 22일 신 전 차관의 의혹에 대해 말을 아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상당히 충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66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은 현지에서 신 전 차관 의혹에 대한 언론 보도를 보고 받았지만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아직은 뭐라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현정부의 핵심 인사들의 이름이 잇달아 거론된다는 것만으로도 임기 후반 국정기조로 내세운 공정사회와 공생발전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여권의 다른 관계자는 "김 전 수석과 신 전 차관 외에도 여권의 다른 핵심 인사가 추가로 비리에 연루됐다는 얘기가 나온다면 정권 말 게이트로 비화할 수 있다"며 걱정했다.

한나라당에서도 "측근 비리가 더 확산되는 것 아니냐"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서울시장 선거에 악재가 될 수 있다" 등의 우려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물론 여당 일부에서는 "신 전 차관에 대해 제기된 의혹이 근거가 부족할 뿐 아니라 과장된 측면이 많다"는 얘기도 나왔다. 김기현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전체적으로 선거 상황이 나쁜데 (신 전 차관 관련 의혹이) 좋은 영향을 미칠 까닭은 없다"고 짧게 논평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신 전 차관에 대한 즉각적인 검찰 수사를 촉구하는 등 공세를 폈다. 이용섭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알려진 액수나 수수 기간도 놀랍지만 돈의 일부가 대선 경선 캠프로 흘러 들어갔다는 주장은 가히 충격적"이라며 "검찰은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철저한 수사만이 사법정의를 바로 세우는 일임을 명심하고 진실 규명에 총력을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유정 원내대변인은 "참으로 기가 막힐 일"이라며 "자고 나면 터지는 측근비리에 이명박 정권의 '블랙아웃'이 머지 않았음을 국민은 직감하고 있다"며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요구했다.



원문 :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109/h201109230234332100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