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8월 22일 월요일

귀뚜라미 회장 주민투표법 위반 고발

입력 : 2011-08-19 21:45:07수정 : 2011-08-19 22:51:16



ㆍ서울선관위, 무상급식 투표 불참유도 교육청 직원도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는 19일 기업체 사내 통신망에 무상급식 주민투표 참여와 특정안 지지를 유도한 글을 올린(경향신문 8월19일자 10면 보도) 최진민 귀뚜라미보일러 회장(70)을 주민투표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또 무상급식 주민투표 불참을 유도하는 e메일을 교사와 학부모 등에게 보낸 서울시교육청 공무원을 고발하고, 곽노현 교육감(57)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선관위가 이번 주민투표와 관련해 특정인을 고발 조치한 것은 처음이다.

최진민 회장은 방송사업을 경영하고 있어 투표운동을 할 수 없다. 최 회장은 귀뚜라미그룹 명예회장 겸 대구방송(TBC) 대표이사 회장직을 맡고 있다.

귀뚜라미보일러 사내 통신망에는 지난 3일 ‘회장님 메일 공지: 서울시민 모두, 오세훈의 황산벌 싸움 도와야’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게시물에는 “빨갱이들이 벌이고 있는 포퓰리즘의 상징, 무상급식을 서울 시민의 적극적 참여로 무효화시키지 않으면 이 나라는 포퓰리즘으로 망하게 될 것이며, 좌파에 의해 완전 점령당할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 또 같은 날 사내 통신망에 오른 ‘회장님 메일 공지: 공짜근성 = 거지근성’이라는 글은 “어린 자식들이 학교에서 공짜 점심을 얻어먹게 하는 건 서울역 노숙자 근성을 준비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귀뚜라미보일러 측은 “회장님이 직접 쓴 글이 아니며, 지만원씨의 글과 지인들이 보내온 글을 사원들에게 알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고발당한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투표운동을 할 수 없는 공무원임에도 투표 불참을 유도하고 편향된 정보를 게재한 ‘무상급식 주민투표 사실은 이렇습니다’라는 e메일을 24만여명에게 보낸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시선관위는 곽 교육감의 경우 e메일 발송을 지시하거나 발송 과정에 관여했는지를 가리기 위해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192145075&code=940100







“김인규 한국방송 사장, 귀뚜라미 회장 기사 삭제 지시” 파문

등록 : 20110822 11:56 | 수정 : 20110822 12:06

최진민 회장 주민투표 독려 뉴스 불만 전화에 <9시뉴스>에서 사라져
부당 압력 논란…노조 “사장 말한마디에…치욕스런 일 벌어진 것”


» 김인규 KBS 사장



김인규 한국방송(KBS) 사장이 지난 18일 귀뚜라미보일러 최진민 회장의 노골적인 주민투표 참가 독려 사실과 관련해 보도본부 취재부서장에게 직접 전화를 건 뒤 보도가 예정됐던 당일 <9시뉴스>에서 사라져 부당 압력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방송 새 노조는 22일치 노보 특보 1면기사에서 “김 사장이 일선 취재부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특정 기사 내용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고, 결국 그 기사가 삭제됐다”면서 “사실상 특정 기사를 삭제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공영방송 사상으로서 자격을 스스로 저버린 행위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보를 보면, ‘투표 참여 대 거부, 날선 공방’이란 제목으로 주민투표와 관련된 여러가지 논란를 다루는 아이템에 최 회장 관련 내용이 포함돼 이날 오후 7시3분께 해당부장의 사인까지 나 제작에 들어가 뉴스 편집이 한창이던 오후 7시30분께 김 사장이 보도국 사회1부 김종진 부장에게 전화를 걸었다. 노보는 “귀뚜라미 보일러 최 회장과 관련된 문장을 삭제할 것을 종용하는 내용이었다”면서 “결국 <9시뉴스> 리포트에는 최 회장 관련내용이 삭제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부장은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18일 뉴스 편집하던 중 김 사장에게 전화가 온 것은 사실”이라며 “그러나 단순히 기사 내용을 문의한 것으로 해당기사에 대해 의견을 밝히거나 지시를 하거나 하는 내용은 없었다”면서 노보의 주장을 부인했다.

김 부장은 기사 미보도 이유에 대해 “해당 아이템은 1분10초로 잡혀있었는데 1분17초가량 제작돼 일반인이 잘 모르는 최 회장 부분을 들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부장은 “9시뉴스에 빠졌지만 다음날인 19일 아침 뉴스에서 4번이나 다뤘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쪽은 “사장이 특정 기사 내용에 대해 취재부서에 직접 전화를 걸어 왈가왈부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 뿐만 아니라 대단히 부적절하다”면서 “사장의 ‘언급’을 단순한 ‘언급’으로 받아들일 간부가 얼마나 되겠는가”라고 꼬집었다.

노조는 이어 “최 회장의 주민투표 독려 논란에 대한 기사 가치는 다르게 판단할 수 있지만 취재기자가 원고를 직접 작성하고 일선부서 부장이 사인을 낸 기사를 사장이 직접 지시하는 것은 명백한 제작 자율성 침해”라며 “사장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따라서 ‘9시뉴스’의 기사가 좌지우지되는 치욕스런 일이 벌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사쪽이 그렇게 떠들어대던 제작 자율성 보장을 김 사장은 정면으로 부정했다”면서 “김 사장은 시청자들에게 즉시 사과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원문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2797.html




속속 드러나는 한나라의 '주민투표 보이콧 과거'

등록 : 2011-08-22


한나라, 2007년 주민투표때는 "투표장에 절대로 가지말라"



무상급식 주민투표 일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나라당은 선거 패배를 감지한듯, 주민투표가 무산되면 선거 보이콧 운동을 펼쳐온 민주당 책임이라며 벌써부터 선거 패배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한 포석을 깔기 시작했다. 특히 야권의 선거 보이콧에 맞서 한나라당은 "선거 불참운동은 반민주적 행태"라며 연일 맹비난을 퍼붓고 있다.

그러나 과연 한나라당에게는 이런 '자격'이 있을까.

참여정부 말기이던 2007년 9월 광역화장장을 유치하려는 김황식 하남시 시장의 정책에 반대해 김 시장의 거취를 둘러싼 주민투표가 진행됐다. 사상 첫 주민투표였다. 김 시장은 한나라당 소속으로, 한나라당은 그의 낙마를 막기 위해 대대적 '선거 불참운동'을 펼쳤다.

2007년 9월13일자 <서울신문>은 당시 상황을 기사와 함께 사진을 통해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김 시장과 시의원 3명은 2007년 9월 5일 하남시청 인근 한전건물에 선거사무소를 마련하고 홍보전을 시작했다. 이날 선거사무소 개소식에는 300여명에 달하는 한나라당 지지자들과 맹형규, 전여옥 의원들까지 가세해 '정치적 주민소환은 하남발전을 막는다'며 투표장에 가지 말 것을 당부했다."

                                     
           요욕아 준표야! 이건 어떻게 설명할래?
          말 좀 해봐라 더러운  한나라당 말종들아.


원문 :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1554836&hisBbsId=total&pageIndex=2&sortKey=regDate&limitDate=-30&lastLimitDate=

700명 감원 LH공사, 4년동안 뽑은 1명은 ‘홍준표 처조카’

입력 : 2011-08-22 10:12:00수정 : 2011-08-22 10:12:00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 처조카가 110조원 부채로 직원들을 감원중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4년만에 ‘나홀로 채용’이 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2일 한겨레에 따르면, 대한주택공사와 한국토지공사의 통합으로 2009년 출범한 LH공사는 통합을 앞둔 2008년부터 구조조정을 이유로 신규 채용을 전면 중단하고 700여명을 감축했지만 이 기간에 공사 전체를 통틀어 정규직으로 채용된 단 1명이 홍 대표의 처조카인 것으로 확인됐다. 21일 LH공사가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강기갑 민주노동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홍 대표의 처조카 ㅊ(29)씨는 2007년 8월 ㅅ대를 졸업하고 이듬해 2월 주택공사의 도시개발단 택지보상판매팀 촉탁직으로 채용됐다.

ㅊ씨는 1년2개월 뒤인 2009년 4월 경제활성화지원단으로 부서를 옮긴 뒤 20여일 만에 5급 정규직으로 채용됐고, 다시 1년7개월 만인 지난해 12월에 4급 대리로 승진했다.

주택공사와 토지공사는 통합이 가시화됐던 2008년 이후 정규직 신입사원은 물론 인턴사원도 전혀 뽑지 않았다. 즉시 실무에 투입하려 뽑은 촉탁직도 2008년 이후 28명에 불과했다. 앞서 주택공사는 2003년 이후 촉탁직을 56명 뽑았는데 일반 촉탁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도 ㅊ씨가 처음이다.
ㅊ씨가 정규직으로 채용된 시기가 두 공사의 통합으로 구조조정을 시작하던 시기라는 점도 석연찮다. LH공사는 통합 전 7367명이던 정규직원을 2012년까지 5600명으로 줄여야 한다. 직원의 24%인 1767명을 감원해야 하는 LH공사는 실제 지난 7월 기준으로 5차례에 걸친 명예·희망퇴직 등으로 783명을 감축했다.

해당부서에서 인사위원회에 제출한 ㅊ씨의 경력에는 허위사실도 기록돼 있다. ㅊ씨의 경력란에는 ‘동대문구청 총무과 계약직’이란 항목이 유일한데 한겨레가 동대문구청에 확인한 결과 ㅊ씨는 계약직으로 일한 기록이 없었다. 이에 대해 ㅊ씨는 “출산휴가 간 직원을 대신해 3개월 정도 일했다”며 “정규직 전환은 부서가 확대되면서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회사에서 전환 여부를 판단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홍준표 대표는 이 사안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실”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 대표는 원내대표 시절인 2008년 10월 주택공사와 토지공사를 통합하는 법안을 발의했고 이듬해인 2009년 4월 국회 본회의 통과를 이끌었다. 당시 토지공사 노조와 야당은 통합에 반대했지만 부채가 많은 주택공사는 통합에 적극적인 입장이었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8221012001&code=91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