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2월 6일 화요일

MBC, BBK 판결문 입수하고도 뉴스 안 내보냈다

원본게시날짜 : 2011-12-06  11:10:53  


뉴스데스크 두 차례 누락, 아침뉴스로 내보내 "나꼼수 죽었다 깨도 못따라가"
조현호 기자 | chh@mediatoday.co.kr   





최근 한미 FTA 축소보도 등으로 시민들의 외면과 질타를 받았던 MBC의 내부에서 이번엔 메인뉴스인 <뉴스데스크>가 인터넷 팟캐스트 ‘나는 꼼수다’의 영향력을 “죽었다 깨도 따라가지 못한다”는 신랄한 평가가 나와 주목된다.

MBC 노조 민실위(민주언론실천위원회)는 6일 발표한 민실위 메모에서 “‘나꼼수’의 영향력이 방송 3사 뉴스를 넘어섰다는 이야기는 더 이상 ‘뉴스’가 아니다”라며 “MBC 간판 <뉴스데스크> 역시 현재로서는 나꼼수의 영향력을 ‘죽었다 깨어난다 해도’ 따라가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MBC 민실위는 “왜 그럴까”에 대해 지난 주말 있었던 미국 법원의 BBK 판결문 입수 관련 보도과정을 사례로 들었다.

MBC 민실위에 따르면, 윤도한 MBC LA 특파원이 한국 특파원으로는 처음으로 BBK 관련 판결문을 입수해 지난 3일(토요일) 오전 ‘미국 법원, BBK 덮는다’는 리포트를 발제했다. 이 리포트는 그날 처음에는 <뉴스데스크> 큐시트에 중간 정도 순서로 잡혀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순서가 점점 뒤로 밀리더니, 뉴스 방송 직전에는 맨 뒤로 밀렸고, 끝내 방송진행 중에 ‘방송 시간이 오버됐다’는 이유로 방송되지 못했다고 민실위는 전했다.

또한 MBC 국제부 기자들은 다음날인 4일 같은 리포트를 발제했으나 전날 상황처럼 <뉴스데스크> 큐시트 중간쯤에 잡혀있다가 맨 뒤로 밀리더니 역시 ‘방송시간이 오버됐다’는 이유로 빠졌다는 것. 결국 이 리포트는 5일 아침 <뉴스투데이>에서 방송됐다.



지난 5일 아침 방송된 MBC <뉴스투데이>



소식을 현지 주간지가 처음 알린 이후 MBC LA특파원이 판결문을 수소문해 입수하는 등 적극적인 취재에 나선 데 대해 민실위는 “국내에서 이미 마무리된 BBK 사건이 미국에서도 마무리되는 순간이었을 뿐 아니라, 세간에는 ‘나는 꼼수다’를 진원지로 해서 ‘이명박 정부가 한미 FTA를 통과시켜 주고, 대신 BBK를 미국 쪽에서 완전히 정리하는 식의 이면 합의가 있다’는 의혹이 파다하게 퍼져있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미국 법원이 BBK 사건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국민들의 커다란 관심거리였다”고 평가했다.

 

이런데도 MBC 간판 뉴스인 <뉴스데스크>는 이 소식을 두 번이나 미루다가 아예 보도를 하지 않았고, 아침뉴스인 <뉴스투데이>로 넘긴 것이다. 지상파 방송3사 가운데엔 아침뉴스에서라도 유일하게 리포트한 것이지만, 메인뉴스에서 두차례나 올랐던 아이템이 누락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게 MBC 기자들의 지적이다.

MBC 주말뉴스 담당 지휘부는 “메인뉴스에서 방송 안됐다는 것보다 방송사 가운데 유일하게 리포트한 곳이 MBC라는데 초점을 맞춰 생각해달라”며 “<뉴스데스크> 뒷부분에 배치한 것은 시청률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다고 민실위는 전했다.

민실위는 “상당수 기자들은 ‘정권에 부담이 되는 뉴스를 일부러 메인 뉴스에서 두 번 씩이나 뺀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MBC 민실위는 MBC 수뇌부가 진정 시청률을 걱정한다면, 생각이 달라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나꼼수가 이름없는 팟캐스트였다가 6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한 이유는 중요한 이슈를 정면으로 다뤘기 때문이라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5일 아침 방송된 MBC <뉴스투데이>



민실위는 그 예로 지난달 6일 방송된 MBC <시사매거진 2580>의 ‘부동산 명의신탁’ 편의 경우 11분여 짜리 이 아이템 앞 부분의 1분40초 동안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내용이 언급됐을 때 당시 실시간 시청률이 13%까지 치솟았으나 내곡동 얘기(이명박 대통령의 명의신탁)가 끝나고 다른 이들의 명의신탁으로 넘어가자 서서히 시청률이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민실위는 “시청자나 청취자들이 그런 뉴스에 목말라 있다는 증거”라며 “생활밀착형 아이템 발굴과 심층 뉴스를 방송하는 것이 시청률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지만, 뉴스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가 나오지 않는다면 시청자로서는 굳이 그 뉴스를 볼 필요가 없다. 이런 뉴스를 빠뜨리면서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하는 노력들은 결국 꼼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문철호 MBC 보도국장은 6일 전화통화와 문자메시지를 남겼으나 "얘기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946

공모 씨, 디도스 공격 전날 국회의장 비서와 술자리

원본게시날짜 : 2011.12.06 09:51


[CBS 이대희 기자]

선관위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 사건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는 한나라당 최구식 의원 수행비서 공모 씨가 범행 직전 박희태 국회의장 비서와 같이 술을 마신 사실을 경찰이 확인했다.

경찰은 최 의원의 수행비서 공 씨가 디도스 공격 전날인 10월 25일 밤 함께 술을 마셨던 박희태 국회의장실 6급 의전비서 김모 씨에 대해 6일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도록 통보했다고 밝혔다.

경찰청 관계자는 "당시 술을 마신 사람은 공 씨를 제외하고 모두 5명으로 김 비서관을 제외한 나머지 변호사와 병원장 등은 이미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를 마쳤다"고 말했다.

또 "이들은 투자 관련 이야기만 했지 디도스 공격에 대한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고 진술했다"며 "조만간 다시 불러 추가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비서관은 공 씨가 수행비서로 일하기 직전 최구식 의원의 수행비서로 일했으며 같은 진주 출신으로 알려졌다.

공 씨는 이들과 술을 마시던 도중인 밤 9시쯤 필리핀에 머물던 공격 실행책 강모(25) 씨에게 처음 전화를 했으며, 밤 11시쯤 통화가 성사돼 범행과 관련해 다음 날 새벽까지 30여 차례에 걸쳐 통화를 했다.

한편 지난 5일 법원의 압수수색 영장을 받은 경찰은 일단 공 씨 등의 금융계좌 자료는 모두 확보했지만 여전히 분석 중이고 이메일과 통화 내역 등의 자료는 다 확보하지 못해 자료 분석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2vs2@cbs.co.kr

[관련기사]



원문 : http://media.daum.net/politics/view.html?cateid=1010&newsid=20111206095134558&p=nocut

한나라 대변인 “나경원 후보 지지자도 투표 못하는 건데…”

원본게시날짜 : 2011-12-05 11:23:44


한나라당 김기현 대변인은 5일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 비서의 중앙선관위 사이버 테러가 박원순 후보 지지층의 투표를 방해하기 위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투표장소를 확인하지 못 하는 사람이 나경원 후보 지지자도 있고 박원순 후보 지지자도 있을 텐데 그렇게 되면 나경원 후보 지지자도 투표하러 못 가게 되는데 그게 무슨 이득이 되는 거냐”고 반문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상도입니다’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참으로 터무니 없는 정치공세는 그만했으면 좋겠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그렇지 않나. 지금 투표하는 날 선관위 홈페이지를 공격해가지고 득표에 무슨 도움이 되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팟캐스트 ‘나는꼼수다’(나꼼수)의 정봉주 전 의원이 ‘선관위의 디도스 공격이 선관위 자체 쪽에서 협조하지 않았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선 “예전에 농협 전산망이 디도스 공격으로 큰 피해를 봤는데 농협에서 그러면 협조를 해서 공격막을 그렇게 허용을 했다는 거냐”라고 반문했다.


김 대변인은 또 “특히 ‘나꼼수’의 정봉주씨 그분이 하고 있는 얘기들은 지금 허위사실이라서 고소를 당해서 조사를 받고 있는 사람”이라며 “그분은 지금 유죄판결을 받아서 3심재판을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다. 그런 분이 한 말을 가지고 어떻게 신뢰를 할 수 있겠냐. 그분 자꾸 불필요한 얘기를 해가지고 자신을 띄우려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이 사안은 수사를 통해서 객관적으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차분히 지켜보는 것이 올바른 자세”라고 말했다.

그는 ‘나꼼수’에 대해서도 “근거없이 그렇게 자꾸 부풀리기 하는 나꼼수라고 하는 게 그게 어디 정기적인 방송이 아니지 않나. 그게 인터넷 팟캐스트라고 하더라. 거기에서 그저 본인이 무책임하게 떠드는 것 가지고서 우리가 왈가왈부 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2051123441&code=910402

국회 국방위,현실성 결여된 14조원 무기도입사업 계약키로

원본게시날짜 : 2011-12-06 08:12:52








【서울=뉴시스】김동현 기자 = 이명박 정부가 14조원 규모의 무기도입사업 계약을 내년 중 마무리짓기로 한 것에 대해 국회 국방위원회가 '현실성이 결여됐다'는 취지의 비공개 보고서를 냈다.

6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국방위는 보고서에 일부 사업예산은 당초 계획보다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사업 자체를 재검토해야한다는 입장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중 계약 체결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무기도입사업은 3차 차기전투기(F-X·8조2905억원), 대형공격헬기(AH-X·1조8384억원), KF-16전투기 성능개량(1조8052억원) 등이다.

또 고고도무인정찰기(HUAV·5002억원)와 해상작전헬기(5538억원) 등 사업규모가 1000억원 이상인 것도 4가지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전문위원실의 '2012년 방위사업청 소관 예산안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공격헬기사업과 3차 차기전투기 사업 추진 일정이 매우 촉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국방위 관계자는 "고고도무인정찰기 도입사업 예산은 당초 예상 사업비의 2배를 넘을 것으로 보여 사업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힌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총사업비가 전년도보다 20% 또는 최초 계획안보다 30% 이상 증가한 사업은 타당성을 재조사하도록 돼 있다"며 "정부가 내년에 기종을 선택하려는 무기도입사업 상당수가 이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입장을 밝혔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도 "내년에 14조원 규모의 무기 계약을 맺으면 그 부담은 차기 정부가 지게 된다"고 말했다.

반면 국방부 관계자는 "예산 부족으로 미뤄 온 계획들이 지난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계기로 진전되기 시작한 것일 뿐"이라고 언급했다.

oj1001@newsis.com




원문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pID=10300&cID=10304&ar_id=NISX20111206_0009929724

정권 말 14조 무기 도입 ‘무리수’

원본게시날짜 : 2011-12-06 03:00:01


ㆍ국방위 보고서 단독 입수

이명박 정부가 총 14조원의 대규모 무기도입사업 계약을 내년 중 마무리짓기로 한 것을 두고 국회 국방위원회가 ‘현실성이 결여된 무리한 추진’이라는 취지의 비공개 보고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위는 보고서에서 일부 사업의 예산은 당초 계획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여 사업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

5일 방위사업청과 국회 국방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내년 중 계약 체결이 예상되는 총사업비 1조원 이상의 무기도입사업은 3차 차기전투기(F-X·8조2905억원), 대형공격헬기(AH-X·1조8384억원), KF-16전투기 성능개량(1조8052억원) 등 3가지 사업이다. 이 밖에 고고도무인정찰기(HUAV·5002억원)와 해상작전헬기(5538억원) 등 사업규모가 1000억원 이상인 것도 4가지다.



이 사업들은 계약금액만 13조7000억원으로, 미국의 2011 회계연도 무기수출액 461억달러(약 50조원)의 30%에 가깝다.

차기전투기와 대형공격·해상작전헬기 3개 사업만 따져도 올해 국방예산(약 31조4000억원)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다.

경향신문이 단독 입수한 국회 국방위원회 전문위원실의 ‘2012년 방위사업청 소관 예산안 검토 보고서’(비공개)를 보면 “방위사업청의 아파치급 헬기 36대를 구매하는 대형공격헬기사업과 스텔스급 60대를 도입하는 3차 차기전투기사업 추진 일정이 매우 촉박하다”며 “절충교역과 가격협상 측면 등을 고려하면 내년 10월까지 기종을 결정하는 것은 다소 현실성을 결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방위 관계자는 또 “고고도무인정찰기 도입사업 예산은 당초 예상 사업비의 2배를 넘을 것으로 보여 사업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회 국방위 관계자는 “국가재정법 시행령 22조는 총사업비가 전년도보다 20% 또는 최초 계획안보다 30% 이상 증가한 사업은 타당성을 재조사하도록 돼 있다”며 “정부가 내년에 기종을 결정하려는 무기도입사업 상당수가 이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아파치 헬기는 대당 단가가 마지막 가격협상에서 687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결정될 경우 방위사업청의 사업분석평가를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산업계에서는 무기 로비스트들이 총사업비의 1~3%를 커미션으로 챙기는 것으로 보고 있다. 14조원 규모의 무기 거래가 이뤄지면 커미션 규모가 수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군사평론가인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은 “예상사업비 13조7000억원이 사업진행 과정에서 20조원까지 불어날 가능성이 있고, 이후 30년간 운용비용까지 따지면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며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미국산 무기구매 계획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도 “내년에 14조원 규모의 무기 구매 계약을 모두 맺어도, 현 정부가 지출해야 할 내년 무기 구매 예산은 4100여억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무기 구매 예산은 기간이 지날수록 커지는 특성이 있어 그 부담은 차기 정부가 지게 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그러나 “예산 부족으로 미뤄온 무기구매 계획들이 지난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계기로 진전되기 시작한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2060300015&code=910302

민노당, MB부부 '배임·실명제위반' 형사고발

원본게시날짜 : 2011-12-05 21:20:24




【성남=뉴시스】전신 기자 = 몽골과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 나선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가 21일 오후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며 인사하고 있다. photo1006@newsis.com 2011-08-21

【서울=뉴시스】박주연 기자 = 민주노동당이 5일 '내곡동 사저'문제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과 부동산 실권리자명 등기법 위반 혐의로 검찰 고발했다.

대통령 부부가 임기 중에 형사 고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민노당은 고소장에서 "이 대통령과 김 여사는 퇴임 후 기거할 사저를 마련하기 위해 내곡동 소재 부지 3필지를 아들 이시형의 이름으로 대통령실 경호처와 지분 공유형태로 매수하기로 하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시형씨는 20-17번지, 20-36번지, 20-30번지와 건물 매입 비용으로 21억5698만원을 지출했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11억2000만원을 지출했고 차액인 10억3698만원을 부당하게 싸게 매입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민노당은 또 "피고발인들은 퇴임 후 기거할 부동산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피고발인들의 아들 명의로 구입한 부동산의 매입대금을 줄이고자 대통령실이 부담할 금액을 증가시켜 대통령실의 손해를 가했다"며 "이미 임태희 대통령실장, 김인종 대통령실 경호처장 등의 업무상 배임행위에 공모한 것으로 형법상 배임행위"라고 지적했다.

민노당은 "김윤옥 여사는 본인 명의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이시형 명의로 6억원을 대출 받게 해 이 사건 토지의 매입과정에 깊이 관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민노당은 "이시형씨의 연봉으로는 최소한 수천만원에 달할 대출금 12억원의 은행 이자조차 감내할 수 없다"며 "피고발인들은 대통령 명의로 구입하게 되면 시가가 올라갈 것을 우려해 이시형씨의 명의를 차용, 부동산을 등기했다고 하는데 이는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재직기간 면책특권으로 당장 기소와 재판절차가 진행되기 어려우니 퇴임 즉시 기소절차를 밟아달라"며 "김 여사는 수사와 기소, 재판진행에 법률상 장애가 없으니 즉시 절차를 개시해달라"고 밝혔다.

pjy@newsis.com



원문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pID=10200&cID=10201&ar_id=NISX20111205_0009924297



[단독] 대통령 부부 형사고발 당했다…현직 대통령 임기 중 처음

원본게시날짜 : 2011.12.05 21:47


[쿠키 정치] 통합진보당(민주노동당)이 5일 내곡동 사저 터를 헐값에 매입하도록 지시한 혐의(특정경제가중처벌법상 배임 및 부동산실명제법 위반)로 이명박 대통령 부부를 검찰에 고발했다. 대통령 부부가 임기 중 함께 형사고발된 것은 처음이다. 서울중앙지검은 진보당의 고발을 형사1부에 배당할 예정이다.

진보당은 고발장에서 “이 대통령은 퇴임 후 기거할 부동산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아들 시형씨 명의로 부지를 대통령실 자금을 끌어들여 시가보다 싼 값에 매입해 10억여원의 이익을 봤다”며 “임태희 대통령실 실장, 김인종 경호처장 등과 업무상 배임행위를 공모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윤옥 여사는 본인 명의의 부동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시형씨 명의로 6억원을 대출 받게 해 내곡동 부지 매입 과정에 깊이 관여했다”고 덧붙였다. 검찰 관계자는 “민주당이 내곡동 사저 의혹과 관련해 임 실장 등 5명을 고발한 사건과 함께 이번 사건도 공정하게 조사하겠다”고 말했다.

헌법 84조에 따르면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않아 이 대통령에 대한 조사 등은 임기 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노석조 기자


원문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pol&arcid=0005621866&code=41111111&cp=nv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