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7월 26일 화요일

"4대강이 홍수 막았다"는 동아일보 '중립' 자문단의 진실

2011.07.26  15:59:37


26일 동아일보는 4대강 사업으로 홍수 안전도가 올랐다는 기사를 1면과 4면, 5면을 통해 내 보냈다. 4대강 유역의 토목, 환경 분야 전문가 8명을 추천 받아 4대강 사업 이후 안전도를 평가해보니 6명이 ‘홍수 안전’에 2명은 ‘보통’이라 평가했다는 보도다.

동아일보는 전문가 섭외에서 “(4대강 사업 홍수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동안 4대강 사업에 적극 찬성하거나 반대한 교수보다는 중립적인 견해를 가진 교수를 각 대학으로부터 추천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동아일보의 주장과는 달리 이번 홍수 평가가 객관적이었는지 매우 의심스럽다. 동아일보가 섭외한 전문가 대부분은 4대강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부산대 토목공학과 신현석 교수는 4대강 국민소송단이 제기한 낙동강 소송에서 정부 측 증인으로 4대강 사업에 대한 강력한 찬성 의사를 밝혀왔다.

이번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신 교수는 “(4대강 사업) 준설 안 했다면 이번 집중호우 때 낙동강 하구는 홍수주의보가 아닌 홍수경보가 내려졌을 것이다”라며 변함없는 4대강 사업 예찬론을 펼쳤다. 동아는 신 교수의 멘트를 5면 제목으로 뽑기까지 했다. 영남대 환경공학과 김승현 교수는 한반도 대운하 추진 시 한나라당 자문단에서 활동했던 인사다. 현재도 신현석 교수와 김승현 교수 모두 4대강 사업 정부측 자문단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 7월26일자 동아일보 1면.
동아일보에게 금강을 자문한 박무종 한서대 토목공학과 교수와 서동일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현재 소방방재청의 과제수행 중에 있다. 정부 산하의 소방방재청은 4대강 사업에 대해 결코 비판적일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고대 출신의 박연수 전 소방방재청장은 가장 먼저 4대강 사업 때문에 태풍 피해가 줄었다고 발언하는 등 노골적으로 4대강 사업 을 찬동했다.
그런 소방방재청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인사가 과연 정부의 4대강 사업 홍수 문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까 싶다. 금강, 영산강을 자문한 교수 등도 정부기관 발주 프로젝트와 직간접적으로 연루돼 있기 때문에 4대강 홍수 평가가 자유로울 수 없다.
동아가 밝힌 중립인사들 중에는 환경운동연합과 ‘MB씨 4대강 비리수첩 제작단’이 제작할 ‘4대강 사업 찬동인사’의 ‘0순위’로 예약된 이들이 상당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일보는 이들이 마치 중립적인 전문가인냥 말하고 있다.

▲ 환경운동연합은 “신현석 교수와 김승현 교수는 4대강 사업 정부측 자문단으로 활동하고 있고, 박무종 교수와 서동일 교수는 현재 소방방재청의 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며 “동아일보가 중립적인 교수라고 밝힌 전문가 8명 중 절반이 4대강 사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인물”이라고 밝혔다. ⓒ 동아일보




동아는 이명박 대통령의 4대강 사업을 노골적으로 띄우기 위해 비중립인사를 중립인사로 포장한 것이다. 동아의 4대강 사업 노골성은 단적으로 왜관철교 붕괴에 대한 보도 형태를 봐도 알 수 있다. 동아는 지난달 25일 낙동강 왜관철교가 붕괴됐을 때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7월 1일 자 ‘장마와 북 방류 대응 빈틈없어야’라는 사설에서는 “25일에도 경북 칠곡군 왜관철교가 장맛비에 무너졌다. 4대강 사업을 하면서 교각 주변을 계획된 것보다 더 깊이 준설했고 교각 밑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교량 보호공도 제대로 설치하지 않았다.”고 했다. 왜관철교 붕괴가 4대강 사업 탓이란 내용이다. 하지만 이번 26일자 보도는 왜관철교 붕괴 등은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장맛비 탓이란 뉘앙스로 보도하고 있다.


다른 사안도 마찬가지겠지만 4대강에 대한 동아의 노골성은 도를 넘어섰다. 동아의 4대강 보도에는 현장이 없으며 진실이 없다. 홍수가 나지 않은 4대강에 이명박 정부가 강행하는 4대강 사업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엄연한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거나 왜곡하고 있는 것이 동아일보다.
예측의 한계가 분명한 자연으로 대상으로 오로지 불도저처럼 밀어붙이기로 일관한 4대강 사업은 현재도 미래도 수많은 사고의 연속일 수밖에 없다. 그것을 메우기 위해서는 또다시 엄청난 혈세가 투입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또한 준설한 지역에 다시 모래가 쌓이는 재퇴적 현상은 수심 확보가 사업 목표인 4대강 사업이 결코 완공될 수 없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이점이 동아일보가 노골적으로 4대강 사업을 띄워도 결코 성공할 수 없는 이유다.


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539

노르웨이 테러용의자, “이명박 만나고 싶다”

입력 : 2011-07-26 16:13:13수정 : 2011-07-26 16:17:04

노르웨이 연쇄 테러 용의자 안데르스 베링 브레이비크(32)가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고 싶은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꼽은 것으로 밝혀졌다. 브레이비크는 지난 22일 범행 직전 온라인에 띄운 선언문 ‘2083: 유럽독립선언’에서 자문자답 형식을 빌어 자신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만나고 싶은 생존 인물 한 명을 꼽으면?”이라고 물은 뒤 “교황이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만나고 싶은 다른 인물은?”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이명박 대통령과 안데르스 포그 라스무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사무총장, 헤르트 빌더스 네덜란드 자유당 당수, 라도반 카라지치 전 보스니아 세르비아계 지도자, 아소 다로(麻生太郞) 전 일본 총리 등 5명을 적시했다.

라스무센 나토 총장은 덴마크 총리 출신으로 유럽연합(EU) 의장을 거친 뒤 2009년 8월부터 현직을 맡고 있다. 네덜란드 자유당 당수인 빌더스는 반 이민, 반 이슬람의 기치를 내걸고 지난해 3월 지방선거에서 제3당으로 부상하면서 연정에 참여하고 있는 있는 극우정치인이다. 지난 6월 네덜란드 법원은 그의 이슬람 차별 발언에 대해 무죄혐의를 내린 바 있다. 카라지치는 1990년대 보스니아 내전 당시 무슬림에 대한 인종청소를 자행한 주범으로, 국제유고전범재판소(ICTY)로부터 전범으로 기소돼 도피하다 2008년 체포돼 재판을 받고 있다. 아소 전 총리는 일본 자민당의 대표적인 보수 우익정치인이다.

브레이비크는 이들 가운데 푸틴과 카라지치에 대해 선정 이유와 자신의 인물평을 실었다. 그는 푸틴을 “공정하고 의지가 강한 존경할만한 지도자”로 묘사한 뒤 “그가 우리의 가장 좋은 친구가 될지, 가장 나쁜 적이 될지 지금으로서는 모르겠다”고 언급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푸틴 대변인은 이에 대해 “미친놈의 헛소리”라고 말했다고 뉴욕타임스가 25일 전했다.

브레이비크는 카라지치에 대해서는 “대량학살자도 인종주의자도 아니다”면서 “보스니아계와 알바니아계도 세르비아계를 대상으로 수십년 동안 대량학살을 자행해왔다”고 말했다.


원문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7261613131&code=970205

전기료 올리던 날 “물가 잡자” 외친 장관들

세계일보 | 입력 2011.07.26 18:55


첫 물가관계 장관회의
생필품 10개 시·도 가격 공개 등…충격 완화용 대책들 소나기 발표


[세계일보]전기요금 인상이 발표된 26일 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이명박 대통령이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후 장관급으로 격상된 물가관계부처 첫 회의였다. 13개 관계부처 장관 중 9명이 참석했다. 전례 없이 높은 출석률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오늘 회의에서 참석률이 높아진 것은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기 때문인 데다 마침 초미의 관심사인 전기요금 인상이 발표되는 날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취임 이후 두 차례 소집한 물가 관계장관회의에서 기관장의 출석률이 저조했던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회의를 주재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마디로 '물가 난국'이라고 할 수 있다"며 서두부터 분위기를 다잡았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오전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송원영 기자
이날 회의에서는 각 부처가 물가관리방식을 선진화하도록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마련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을 경쟁적으로 발표했다. 여기에는 담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가격 인하로 위반행위를 바로잡으면 과징금을 깎아주는 폭을 늘리기로 하는 방안, 공공요금과 외식비, 채소류 등 주요 서민물가 10개를 선정해 시·도별 비교표를 공개해 지역 간 가격경쟁을 유도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아울러 바나나와 파인애플도 할당관세 품목에 추가하고 냉장돼지고기와 함께 9월 말까지 할당관세 물량을 무제한으로 늘리는 단기 대책도 발표됐다.

높은 출석률도 그렇고, 부처별로 하나씩 마련한 물가대책은 이날 전기요금 발표와 묘하게 대비됐다. 전기요금 인상의 충격을 완충하려는 속내가 읽힌다는 평들이 일각에서 나왔다. 전기요금 충격을 줄이려고 장관들이 대거 참석해 경쟁적으로 대책을 쏟아낸 게 아니냐는 세간의 해석이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전체 물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전기요금을 4.9%나 올리는 날 공교롭게도 각 부처 장관들이 그동안 잘 참석하지도 않던 물가회의에 모습을 드러내 기다렸다는 듯 물가대책을 쏟아낸 것은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국민 비난을 모면하기 위한 얄팍한 수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혁 기자



원문 :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cluster_list.html?newsid=20110726185504408&clusterid=386066&clusternewsid=20110726185504408&p=segye&t__nil_economy=uptxt&nil_id=1

폭우로 서울 6곳 통제…명동롯데앞 물바다

입력 2011.07.26 20:54 | 수정 2011.07.26 20:58


`실종·고립' 인명피해 속출…"침수 피해 신고 300건"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차지연 기자 = 26일 오후 서울 지역에 시간당 70mm의 기습 폭우가 쏟아지면서 시내 곳곳의 교통이 통제돼 퇴근길 교통대란이 벌어졌다.

300여건이 넘는 침수 피해 신고가 접수됐고 계곡물이 갑작스럽게 불어나면서 인명 피해가 속출했다.

26일 소방 당국과 경찰에 따르면 서울 을지로입구에서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점으로 향하는 도로 4차선 구간이 오후 6시50분부터 7시까지 통제됐다.




이날 을지로 롯데백화점 앞 4차선로의 인도 우수관로 뚜껑이 열리면서 하수가 역류해 인근 도로가 물바다가 됐지만 도로 통제 상황은 10분 만에 해제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명동 인근 도로가 극심한 차량 정체를 빚었다.

이와 함께 이날 오후 8시 기준으로 서울 시내 6곳의 도로가 침수로 인해 교통이 통제됐다.

침수 구간은 서대문구 북가좌동의 증산 지하차도, 청계천 보행자 도로, 동부간선도로 성동교-월계1교 구간, 양재천로, 개화 육갑문 등 지역이다.

주간에 통제됐던 양천구 신월동의 신월 지하차도는 이날 오후 늦게 통제가 해제됐다.

소방당국은 이날 오후 8시 현재 서울 전역에서 300여 건이 넘는 침수 피해 신고가 접수돼 배수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소방 당국은 현재 5~6곳에서 실종 신고를 접수하고 구조 인력을 급파했다.

오후 5시께 노원구 월계동 장월교 인근과 은평구 불광동 삼천사에서 각각 시민 1명이 물살에 떠내려가는 것을 목격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수유동 백련사 계곡 인근에선 1명이 고립됐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소방당국 관계자는 "침수 및 고립, 실종 등 피해 신고가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charge@yna.co.kr

(끝)





원문 :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view.html?cateid=1067&newsid=20110726205414674&p=yonh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