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월 10일 월요일

오늘 한·일 국방 회담… 국방협력서 군사협정으로

원본게시날짜 :  게재 일자 : 2011년 01월 10일(月)

정보·용역 교환 큰틀 합의, 일각 日 군사 대국화 우려

10일 한국과 일본의 국방장관이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과 ‘상호군수지원협정(ACSA)’ 등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것은 아직은 느슨한 단계의 교류지만 한·일 양국의 군사관계를 한 단계 격상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만약 협정 체결 쪽으로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이는 양국 간 첫 군사협정이 된다. 이는 곧 그동안 국방교류에 머물렀던 양국 간 관계가 군사협정으로 나아가는 토대를 구축한다는 의미를 담는 것으로도 평가된다.

특히 지난해 12월8일 한국을 방문했던 마이클 멀린 미 합참의장이 한·미·일 연합군사훈련을 제안하는 등 3국 간 협력 강화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어, 이번 군사협정 체결논의가 한·일 양국 간에 보다 진전된 형태의 본격 군사협력으로 나아가는 신호탄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일본의 군사대국화 경계와 함께, 유사시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에 대한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는 실정이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이날 기타자와 도시미(北澤俊美) 일본 방위상과의 회담에서 ‘군사정보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 낮은 차원에서의 군사협정 체결 가능성을 타진한다. 

최근 북한 핵 위협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진 반면, 한·일 양국 간에는 대북 군사정보 교류와 유사시 군수물품 및 용역을 주고받을 수 있는 마땅한 법적 근거가 없었던 만큼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따라서 이날 양국 국방장관은 대북 관련 군사정보를 부분 공유하는 방안과 평시 군수품 및 용역을 교환할 수 있는 협정 체결을 위해 상호 노력한다는 큰 틀의 합의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또 이 같은 양국의 의지를 공동보도문 형식으로 발표하고, 이후 구체적인 시기와 범위 등은 실무선에서 추가 논의하는 방식으로 정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은 2009년 4월 이상희 당시 국방장관이 일본을 방문해 가진 회담에서 정례협의체 운용, 인적교류,교육교류, 공동훈련 등을 포괄적으로 규정한 ‘한일 국방교류에 관한 의향서(MOU)’를 체결했지만 정식 군사협정은 아직 성사된 적이 없다.

GSOMIA는 북한의 핵 및 대량파괴무기(WMD) 관련 정보 등을 양국이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ACSA는 무기를 제외한 군수물자 및 수송 등 서비스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장석범기자 bum@munhwa.com


원문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1011001070527182001




오늘 한일 국방장관 회담…첫 군사협정 체결 논의

원본게시날짜 :  기사입력 2011-01-10 09:24
최종수정 2011-01-10 11:47

【 앵커멘트 】
한미일과 중국 등 한반도 주변국들이 잇따라 국방회담을 개최합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오늘(10일) 오늘 오후 일본 방위상과 회담하고, 오는 14일엔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을 만납니다.
박호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김관진 국방부 장관과 기타자와 토시미 일본 방위상이 오늘 오후 국방부에서 한일 국방장관 회담을 엽니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은 북한 핵문제와 연평도 포격도발 등 지역 안보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합니다.

아울러 국방교류협력 등 안보 관심사를 논의하며, 특히 군사비밀보호협정과 상호군수지원협정 등 첫 군사협정 체결 문제가 관심의 대상입니다.

군사비밀보호협정이 체결되면 양국이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됩니다.

군수지원협정은 대규모 재난 피해 때 양국 군의 상호 군수품과 서비스 제공이 주요 내용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군 당국은 양국이 군사협정이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반일감정을 고려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협정체결 논의는 이제 시작단계이고 연내 체결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회담에서 한일 군사협정 체결 논의가 얼마나 진전되느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을 방문한 로버트 게이츠 미 국방장관은 한중 국방장관 회담에 이어 후진타오 주석을 만난 뒤 일본을 거쳐 14일 방한합니다.

한미 국방장관은 북한의 도발과 핵·미사일 프로그램 위협에 맞서 한미동맹 강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MBN뉴스 박호근입니다.



원문 :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6&news_seq_no=1026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