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1월 16일 수요일

이명박 대통령은? 2009년 청계재단 설립…측근·친인척이 운영

원본게시날짜 : 등록 : 20111115 20:53 | 수정 : 20111116 09:33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1500억원 규모의 사재 사회환원 방침을 밝히면서 전 재산을 출연해 청계재단을 만든 이명박 대통령과 여러모로 비교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7년 대선 직전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당시 도곡동 땅과 비비케이, 다스 등의 실소유주가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인 상태였다. 재산 환원은 일종의 선거전략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대통령은 이 약속에 따라 취임 2년차인 2009년 8월 331억원을 출연해 청계재단을 설립했다. 이 대통령의 대학 동기인 송정호 전 법무장관이 이사장, 사위인 이상주 변호사가 이사, 고교 동창인 김창대씨가 감사를 맡는 등 이 대통령의 측근·친인척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말 이 대통령의 실소유주 논란이 있는 다스 지분을 재단에 편입한 것도 논란이 됐다.

안철수 원장의 재산 기부가 정치권에서 사실상의 대선행보로 해석되면서 잠재적 경쟁자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재산에도 관심이 모인다. 박 전 대표는 15일 안 원장의 사재 환원에 대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지난 3월 공개한 ‘국회의원 재산변동 및 등록사항’ 자료에서 22억397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박 전 대표가 살고 있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단독 주택은 공시지가가 19억80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원이 올랐다. 예금액은 9292만원이었다. 박 전 대표는 2005년 2월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끊이지 않던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의전·공보 비서관을 지낸 최필립 전 리비아 대사가 후임 이사장을 맡으면서 정수장학회가 여전히 박 전 대표의 영향력 아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최 이사장은 2002년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을 탈당해 한국미래연합을 창당했을 때 운영위원으로 일하는 등 박 전 대표의 측근으로 꼽힌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2008년 약속…시기·방식 아직 고민중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교수가 안철수연구소 주식 절반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것을 계기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사재 출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삼성 관계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이 회장은 차명으로 갖고 있던 삼성 계열사 지분 출연 시기와 방식을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그는 2008년 4월 ‘삼성 특검’ 뒤 삼성전자 회장에서 물러나면서 차명으로 갖던 삼성 계열사의 지분 처리와 관련해 “실명 전환한 뒤 벌금과 누락된 세금을 납부하고 남은 것을 유익한 일에 쓰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 미래전략실은 지난 4월 삼성경제연구소에 ‘사회공헌연구실’을 만들어 효과적인 출연 방안을 찾아왔다. 삼성 관계자는 출연 규모와 관련해 “벌금과 세금 및 이미 장학재단으로 출연한 것을 뺀 나머지로, 시가로 따지면 1조원 가량 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난 8월 사재 출연 약속을 이행하려다 정몽구 현대차 회장이 5000억원 규모의 현대글로비스 주식을 사회에 내놓겠다고 발표하면서 선수를 빼앗겨 시기를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안철수 교수가 지분 절반을 내놓기로 하면서 출연 방식에도 신경이 쓰이게 됐다. 삼성 관계자는 “규모 뿐만 아니라 절차와 방식에서도 (안 교수와) 비교되게 됐다”고 말했다. 삼성 미래전략실 쪽은 이 회장의 사재 출연 시기에 맞춰 회사 쪽이 동참하는 방법으로 출연 규모를 키우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관계자는 “정몽구 현대차 회장이 5000억원을 내놓겠다고 밝힌 것을 계기로 이건희 회장의 사재 출연 때 삼성 계열사들이 3000~50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함께 시작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발표 시기는 회장님 생일(1월9일) 전후로 점쳐지고 있다”고 전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원문 :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05618.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