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게시날짜 : 2012.01.10 09:59
원문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120110095912210&p=yonhap&RIGHT_COMM=R3
서해뱃길 중단속 교각확장 진행 `무용지물'
市 "매몰비용 커 추가사업비 72억 투입…9월 완료"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서울시가 양화대교 교각확장 공사비 490억원을 사실상 허공에 날려버리게 됐다.
양화대교 교각확장 공사는 오세훈 전 시장때 한강 서해뱃길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나 지난해 10월 취임한 박원순 시장이 서해뱃길 사업을 반대함으로써 공사 자체가 무의미하게 됐기 때문이다.

특히 박 시장은 현 시점에서 교각 확장공사를 중단하는 비용이 공사를 완료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보다 크다는 실무자의 의견에 따라 공사를 마무리하기로 방침을 정해 추가 사업비 75억원를 불가피하게 투입하게 됐다.
서울시 정무라인 관계자는 10일 "양화대교 교각 확장공사는 애초에 중단됐어야 할 사업이지만 지난해 10월 보궐선거 운동 기간에도 공사가 계속돼 이제는 매몰비용 때문에라도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화대교 공사는 선박 운항 시 교각과의 충돌 위험을 막고 배가 통과하는 구간의 교각 간격을 42m에서 112m로 넓히는 것이다.
이 공사는 2010년 2월 상·하류 측에 아치형 교량을 새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작됐으며 상류 측 아치교는 지난해 5월 완공됐고 하류 측 아치교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시와 시의회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과 강행이 반복돼 공기가 계속 늦춰졌으며 이로인해 양화대교상의 `ㄷ'자 형 가설교량을 운행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서울시는 하류 측 공사가 85%의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올해 9월 공사 완료를 목표로 75억원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하기로 했다.
양화대교는 본 예산 415억원과 함께 2차례 공사중단으로 인한 강재손료 16억원, 애초 설계시 반영하지 못한 현장 여건 등에 따른 공법 변경 44억원, 공사 지연에 따른 물가 상승비, 감리비 등 15억원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오세훈 전 시장 재임 시절에 예비비로 추가공사비 182억원을 충당해 불법사용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서울시의회 장환진(민주당) 의원은 "양화대교는 애초에 서해뱃길을 위해 계획된 것인데 서해뱃길이 취소되면서 이 사업은 목적성을 잃었을 뿐 아니라 졸속으로 추진한 폐해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양화대교 공사 담당자는 "9월 완공 전까지 예산을 받지 않으면 정산이 안 돼 법적 분쟁을 일으킬 수가 있어 추가경정예산을 신청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lisa@yna.co.kr
(끝)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市 "매몰비용 커 추가사업비 72억 투입…9월 완료"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서울시가 양화대교 교각확장 공사비 490억원을 사실상 허공에 날려버리게 됐다.
양화대교 교각확장 공사는 오세훈 전 시장때 한강 서해뱃길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으나 지난해 10월 취임한 박원순 시장이 서해뱃길 사업을 반대함으로써 공사 자체가 무의미하게 됐기 때문이다.


서울시 정무라인 관계자는 10일 "양화대교 교각 확장공사는 애초에 중단됐어야 할 사업이지만 지난해 10월 보궐선거 운동 기간에도 공사가 계속돼 이제는 매몰비용 때문에라도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화대교 공사는 선박 운항 시 교각과의 충돌 위험을 막고 배가 통과하는 구간의 교각 간격을 42m에서 112m로 넓히는 것이다.
이 공사는 2010년 2월 상·하류 측에 아치형 교량을 새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시작됐으며 상류 측 아치교는 지난해 5월 완공됐고 하류 측 아치교는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시와 시의회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과 강행이 반복돼 공기가 계속 늦춰졌으며 이로인해 양화대교상의 `ㄷ'자 형 가설교량을 운행하는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서울시는 하류 측 공사가 85%의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올해 9월 공사 완료를 목표로 75억원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하기로 했다.
양화대교는 본 예산 415억원과 함께 2차례 공사중단으로 인한 강재손료 16억원, 애초 설계시 반영하지 못한 현장 여건 등에 따른 공법 변경 44억원, 공사 지연에 따른 물가 상승비, 감리비 등 15억원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오세훈 전 시장 재임 시절에 예비비로 추가공사비 182억원을 충당해 불법사용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서울시의회 장환진(민주당) 의원은 "양화대교는 애초에 서해뱃길을 위해 계획된 것인데 서해뱃길이 취소되면서 이 사업은 목적성을 잃었을 뿐 아니라 졸속으로 추진한 폐해가 계속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양화대교 공사 담당자는 "9월 완공 전까지 예산을 받지 않으면 정산이 안 돼 법적 분쟁을 일으킬 수가 있어 추가경정예산을 신청하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lisa@yna.co.kr
(끝)
< 연합뉴스 모바일앱 다운받기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원문 : http://media.daum.net/politics/administration/view.html?cateid=1017&newsid=20120110095912210&p=yonhap&RIGHT_COMM=R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