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2011.10.18 00:02 / 수정 2011.10.18 06:06
내곡동 사저 포기, 논현동으로 … 김인종 경호처장도 경질

그로부터 4시간쯤 뒤 이 대통령은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와 따로 만났다. 5부 요인(국회의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소장, 국무총리,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여야 대표와의 청와대 오찬을 마친 뒤다. 홍 대표는 “내곡동 사저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것 자체가 국민 정서에 반하고 부적절하다. (이 대통령이 과거에 살던 서울) 논현동으로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논현동 복귀 문제를 포함해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답했다. 홍 대표는 “사저 문제 책임자인 김인종 경호처장을 경질하라”고도 했다. 청와대는 “김 처장이 이미 사의를 표명한 상태”라고 했다. 홍 대표의 두 가지 요구를 다 받아들인 셈이다. 이후 홍 대표는 국회에서 "이 대통령이 퇴임 후 새로운 사저 대신 논현동 자택으로 돌아가겠다고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악화한 민심을 체감한 한나라당 홍 대표와 나경원 서울시장 후보 측의 압박도 이 대통령의 결심에 영향을 끼쳤다.
홍 대표 등은 “사저 문제가 조속히 정리되지 않으면 서울시장 선거는 물론 내년 총선·대선 때도 고전할 것”이라며 전면 백지화를 요구했다. 홍 대표는 16일 오후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연락해 사저 계획 백지화를 요구했고, 한나라당 김정권 사무총장은 이날 밤 김 수석을 만나 이 같은 당의 입장을 전달했다.
이 대통령 측근은 “사저 계획을 그대로 실행하려 할 경우 대통령은 여권에서도 고립될 뿐 아니라 재·보선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도 뒤집어쓰는 상황을 맞게 된다는 점을 청와대도 알았기 때문에 당의 요구를 수용했다”고 밝혔다.
청와대에선 “내곡동 사저 문제에 대해 대통령은 상세히 모르고 있었고 김백준 청와대 총무기획관도 잘 몰랐기 때문에 말을 못하고 미적거렸다. 결국 김인종 경호처장이 숨기면서 사태가 일파만파 커진 것”이라며 “김 처장만 책임지면 된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하기 전 내곡동 부지를 살펴본 적이 있다고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말한 적이 있는 만큼 정치권에선 “대통령에게도 책임이 있는 것 아니냐. 대통령이 부지를 살펴본 적이 있으면서도 ‘본의 아니게’라는 말을 한 건 부적절하지 않으냐”는 지적도 나온다.
글=고정애·정효식 기자
사진=김태성 기자
원문 : http://joongang.joinsmsn.com/article/aid/2011/10/18/6089789.html?cloc=olink|article|default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