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1-09-15 09:52:01 노출 : 2011.09.15 10:11:20
내부 결정 후 심사부서 인계안해 무산... 전태일재단 "대통령 조화 들어낸 시기와 맞물려"
고 이소선 여사에 대한 훈장 추서가 무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15일 행정안전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지난 5일 고인에 대한 자료와 추천공문을 행정안전부로 보내 훈장 추서를 건의했지만 행정안전부가 훈장 추서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소선 여사에 대한 훈장 추서 심사가 이뤄진 것이 아니라 추서 건의를 받은 부서가 자체적으로 판단해 훈장 업무를 관장하는 상훈담당관실로 인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한문교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과거사 및 민주화’담당 주무관은 “이소선 여사의 훈장 추서안은 일종의 민원이라고 볼 수 있다”며 “모든 부서가 민원을 모두 수용해 내보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훈장 추서) 건의를 우리 부서 자체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영 행정안전부 상훈담당관실 서기관도 14일 “이소선 여사 훈장 추서안이 상훈과로 올라오지 않아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고 서기관은 “상훈담당관실은 훈장 추서안이 올라오면 결격사유가 있는지 살피는 등 주로 훈장 추서의 절차적 업무를 담당하고 경우에 따라 공적 심사도 하게 된다”며 “처음 훈장 추서와 관련한 민원이나 건의를 상훈담당관실로 올리게 될지는 그 부서가 결정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송동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홍보실 담당자는 “70년대부터 40여 년간의 활동으로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는 등 훈장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고 반박했다. 결국, 행안부는 고 이소선 여사에 대해 ‘공적심사위원회’와 같은 전문적인 평가조차 진행하지 않은 채 훈장 추서를 묵살한 것이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하병필 과장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소선 여사가) 노동여건 개선을 위해 활동한 공로를 충분히 이해하지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적 존경과 덕망을 갖추었느냐를 판단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훈장 추서를 건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특히 훈장 추서 건의와 묵살에 이르는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태일재단의 박계현 사무총장은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 “민주화기념사업회도 행정안전부 소속이라 훈장도 추서될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장례식장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조화를 유족들의 건의로 들어낸 적이 있었는데 그 시기와 훈장 추서가 무산된 날짜가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박 사무총장은 “지금처럼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역행하는 상황에서 훈장에 대한 욕심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15일자 기사 <행안부, 이소선씨 훈장 추천 거부 “민주화 공적 평가대상 아니다”>에서 “민주화 운동가에 대한 국민훈장 추서는 다른 국민훈장 포상에 비해 인색한 편이다”며 “2002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추서받은 고 문익환 목사, 2007년 5·18 민주화운동 관련으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추서받은 윤한봉 전 민족미래연구소장 이후에는 훈장을 추서받은 민주화 운동 관련자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 3일 향년 82세의 나이로 별세한 이소선 여사는 아들 전태일이 노동권 보장을 외치며 분신자살한 1970년 이후 40여 년동안 노동자를 위해 일생을 바쳐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린다.
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366
내부 결정 후 심사부서 인계안해 무산... 전태일재단 "대통령 조화 들어낸 시기와 맞물려"
백경빈 기자 | binn530@mediatoday.co.kr |
고 이소선 여사에 대한 훈장 추서가 무산된 것으로 밝혀졌다.
15일 행정안전부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따르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지난 5일 고인에 대한 자료와 추천공문을 행정안전부로 보내 훈장 추서를 건의했지만 행정안전부가 훈장 추서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소선 여사에 대한 훈장 추서 심사가 이뤄진 것이 아니라 추서 건의를 받은 부서가 자체적으로 판단해 훈장 업무를 관장하는 상훈담당관실로 인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한문교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과거사 및 민주화’담당 주무관은 “이소선 여사의 훈장 추서안은 일종의 민원이라고 볼 수 있다”며 “모든 부서가 민원을 모두 수용해 내보내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훈장 추서) 건의를 우리 부서 자체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고은영 행정안전부 상훈담당관실 서기관도 14일 “이소선 여사 훈장 추서안이 상훈과로 올라오지 않아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고 서기관은 “상훈담당관실은 훈장 추서안이 올라오면 결격사유가 있는지 살피는 등 주로 훈장 추서의 절차적 업무를 담당하고 경우에 따라 공적 심사도 하게 된다”며 “처음 훈장 추서와 관련한 민원이나 건의를 상훈담당관실로 올리게 될지는 그 부서가 결정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송동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획홍보실 담당자는 “70년대부터 40여 년간의 활동으로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에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는 등 훈장을 받을 자격이 충분하다고 판단했다”고 반박했다. 결국, 행안부는 고 이소선 여사에 대해 ‘공적심사위원회’와 같은 전문적인 평가조차 진행하지 않은 채 훈장 추서를 묵살한 것이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하병필 과장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소선 여사가) 노동여건 개선을 위해 활동한 공로를 충분히 이해하지만, 생전에 큰 공을 세워 국민적 존경과 덕망을 갖추었느냐를 판단하기에는 문제가 있어 훈장 추서를 건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
▲ 고 이소선 여사 |
특히 훈장 추서 건의와 묵살에 이르는 과정이 석연치 않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태일재단의 박계현 사무총장은 미디어오늘과의 통화에서 “민주화기념사업회도 행정안전부 소속이라 훈장도 추서될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장례식장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조화를 유족들의 건의로 들어낸 적이 있었는데 그 시기와 훈장 추서가 무산된 날짜가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박 사무총장은 “지금처럼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역행하는 상황에서 훈장에 대한 욕심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한겨레는 15일자 기사 <행안부, 이소선씨 훈장 추천 거부 “민주화 공적 평가대상 아니다”>에서 “민주화 운동가에 대한 국민훈장 추서는 다른 국민훈장 포상에 비해 인색한 편이다”며 “2002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추서받은 고 문익환 목사, 2007년 5·18 민주화운동 관련으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추서받은 윤한봉 전 민족미래연구소장 이후에는 훈장을 추서받은 민주화 운동 관련자가 없다”고 밝혔다.
지난 3일 향년 82세의 나이로 별세한 이소선 여사는 아들 전태일이 노동권 보장을 외치며 분신자살한 1970년 이후 40여 년동안 노동자를 위해 일생을 바쳐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린다.
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36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