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6월 27일 월요일

'왜관 철교 붕괴'와 '구제역 가축 생매장'

기사입력: 2011/06/27 [05:42]  최종편집: ⓒ 신문고

6.25, 61주년에 왜관철교‘호국의 다리’ 장맛비에 유실 전형적인 인재

25일 오전5시경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과 약목면을 잇는 "호국의 다리" (구 왜관철교)가 집중 호우로 인해 붕괴되면서 다리 전체 469m 가운데 100여m가량이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6.25전쟁 때에 낙동강이 최후의 저지선으로 정해지면서 "호국의 다리"는 북한 인민군들의 낙동강을 건너는 것을 막기 위해 유엔군에 의해 철교가 폭파되면서 첫번째로 무너진 이후 이번 태풍 메아리의 장마로 인해 6.25 전쟁 이후 두번째로 붕괴된 것이다.

다행히 이번 사고는 주민들의 통행이 드문 새벽에 발생 함으로서 소중한 인명피해로 까지 이어지지는 않았다. 낮 시간에 사고가 발생했다면 대형 인명 사고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사고였던 것. 사고는 장맛비로 강물이 불어나면서 새벽 4시10분쯤 다리를 떠받치는 2번 교각이 무너져 내리므로서 다리 상판 100여미터도 함께 무너져 내렸다.
무리한 4대강 사업 밀어 붙이기 상징(?)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를 상징하는 '호국의 다리'가 6.25 61주년 새벽에 장맛비로 무너진 왜관철교 붕괴는 우연의 일치인지는 알수없지만 6.25 새벽 4시 10분쯤 전쟁이 일어난 동일한 시간에 무너져 내린 것은 유쾌하지 못한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더구나 붕괴원인 조사에 나선 전문가들의 지금 까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사고가 자연재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무너져 내린 것이 아닌 4대강 사업 때문이라는 인재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왜관철교 붕괴는 인접한 4대강사업(칠곡보 조성, 24공구)으로 하상이 과도하게 준설되어 일어난 사고로, 낙동강 살리기 구간에서 시행된 준설로 강바닥이 전보다 3~4m 낮아진 상태에서 교각 부근의 와류로 하상의 모래가 심하게 패였지만, 교각보강 공사는 등한시 함으로서 다리가 붕괴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는 것.

즉, 낙동강 준설 작업을 벌이기 전 교각 보강 공사를 했지만 공사비를 아끼기 위해 붕괴된 2번 교각은 제외한 것으로 드러 났으며 다리 교각이 강 바닥에 6~7m 깊이로 박힌 것을 감안해 3~4m만 파내야 하지만 이런 원칙도 무시돼 이번 사고가 벌어진 것이다.

원인을 따졌을때 100년 넘게 낙동강의 세찬 물살을 버텨 내던 옛 왜관 철교가 붕괴된 것은 지난 2년 동안 이명박 정권이 강행했던 4대강 공사로 사고 원인이 귀결되는 셈이다. 이번 사고와 관련 4대강 사업단 측은 무너진 교각에 대해 보강공사가 진행되지 않은 것은 인정하면서도 이번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4대강 사업단 측이 그 어떤 변명을 늘어 놓더라도 수천 수만년동안 잘 흘러가던 낙동강을 파헤침으로서 이번 사고와 강 전반의 환경재앙을 불러 왔다는 것 만은 분명한 사실일것이다.

구제역 매몰지 붕괴 발생하면 환경 대재앙 
구제역 매몰지 관리에 비상이 걸려 있는 상황이다. 경북도내의 경우 지난해 말 구제역 사태로 돼지 , 소 등 우제류 43만여 마리가 살처분, 1천100여곳에 매몰처리 됐다. 도 당국이 지난 2월 일부 매몰지를 선정, 현황조사에서 조사대상 매몰지 3분의 2 가량이 폭우가 쏟아지거나 예기치 못한 사태에 붕괴 및 유실 우려가 높은 것으로 밝혀져 환경재앙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지난 겨울 구제역 파동을 겪으면서 정부는 전국적으로는 수백만 마리의 소. 돼지를 생매장 했었다. 시간이 흐른 지금 과연 이 같은 생매장 정책이 도대체 무엇때문에 그렇게 까지 했어야만 했는지 갈 수록 의구심이 든다.

전국적으로 도축시설이 부족한 것도 아니다. 또 정부가 표면적으로 내세웠던 구제역청정 지역 유지라는 구호 또한 고작 한해 수십만불 어치의 축산물을 수출하기 위해서라는 논리에는 기만 찰 뿐이다.

한해 수십만불어치의 축산물을 수출하는 그 댓가로 지금 우리 국민들은 그 몇만배는 됨직한 세계 각국에서 들여온 축산물로 식탁을 채우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형마트나 정육점을 가보더라도 수입돼지고기와 수입 쇠고기가 매장을 꽉채우고 있기도 하다.

구제역 여파로 폭등한 국내산 돼지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쉽게 열지 않기에 세계 각국의 돼지고기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뿐 아니다. 구제역에 놀란 가슴은 쇠고기 소비마저 위축시켰다.

한우협회는 위축된 소비를 늘리고자 판촉행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소비심리는 쉽게 회복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축산 농가로서는 지난 겨울 구제역 파동으로 위기를 겪은 후 그 호된 여파는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이점에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결과적으로 놓고 본다면 구제역을 핑게로 정부가 국내 사육 가축수의 조절에 나섰던것은 아닌가 의심을 갖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수백만 마리의 가축을 도살하더라도 이를 생매장 방식으로 처리할 필요성은 전혀 없었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실제 도살한 가축중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은 한자리 숫자도 못되었다고 하니 99%가 넘는 멀쩡한 소와 돼지를 땅에 그냥 묻은 셈이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수조원의 돈을 들여 가면서 환경재앙도 도외시 한채 막무가내로 묻었다는 점에서 이명박 정권의 그 진정한 속내를 더듬어 보지 않을 수 없기도 하다. 굳이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살처분 했어야만 한다면 그 수많은 가축들을 임시로 도축한 후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수 많은 사설 냉동창고에 보관만 했어도 충분하지 않았을까 하는 상식적인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왜관철교 붕괴와 구제역 생매장지역 침출수 우려. 두 가지의 공통점은 결국 이명박 정권의 환경인식의 천박성을 고스란히 대변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물론 이미 저질러진 상황이기에 그 후속처리가 중요하겠지만 진한 아쉬움이 남는 것만은 어쩔수 없다.

국회 국정조사를 통해서라도 무엇 때문에 4대강 사업을 밀어 붙였어야만 했는지와 무엇때문에 수백만 마리를 땅에 묻었어야만 했는지에 대해 철저한 사실 규명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가 한다.


원문 : 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2530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