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9-19 오후 1:34:37 게재
한전 방문한 이 대통령 "왜 전문가가 없느냐" 호통
관련부처·기관에는 낙하산·전관예우 인사 '득시글'
청와대는 18일 '정전대란'의 책임을 물어 사실상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을 경질키로 방침을 정했다. "책임을 묻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질책이 결국 최 장관 경질 방침으로 이어진 것이다.
사실 낙하산·전관예우로 일관된 'MB식 인사'가 전력대란의 또다른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전문성을 외면한 낙하산 인사가 위기시 신속한 대처를 어렵게 했다는 것이다. 전력대란 첫날 주무장관인 최 지경부장관이 이 대통령 주최 콜롬비아 대통령 만찬장에 있었다는 사실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9일 청와대와 지경부에 따르면 전력대란에 직간접 책임이 있는 장관과 공기업사장 8명 가운데 전문경력을 갖춘 사람은 1~2명에 불과했다. 총괄책임을 지게 된 최 지경부장관은 기재부(옛 재경부) 출신의 국제금융통이다.
기온상승 문제를 총괄해야 할 유영숙 환경부장관 역시 기후문제와는 거리가 먼 생화학을 전공한 여성과학자다. 전문성보다 대통령의 신임도와 '여성 끼워 넣기' 논리에 따라 장관을 임명 전력대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전력·발전 관련 공기업 인사는 더욱 심각하다. 정권실세의 추천을 받은 비전문가와 지경부 퇴직간부들에게 전관예우 차원에서 자리를 만들어줬기 때문이다. 전력계통을 책임진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지경부 전관예우 케이스다. 지경부 석유산업과장, 지역특구개발위원장을 지냈으며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같은 행시 24기 출신이다.
발전사 사장 역시 마찬가지다. 남인석 중부발전 사장은 산업기술을 주로 다룬 지경부 출신이다. 민간기업 출신의 장도수 남동발전 사장은 아예 '전력·발전' 분야의 문외한이다. 더구나 사장의 경영성과를 감시해야 할 한전 자회사 11개 감사는 전원 정치권 출신의 '낙하산 부대'다.
전력대란 이후에도 나눠먹기 인사에 대해 청와대가 시정할 의지가 없다는 점은 더욱 우려되는 대목이다. 청와대는 오는 10월 임기가 만료되는 동서·남동발전 사장을 연임시키기로 하고 대통령 재가 절차만 남겨둔 상태다. <내일신문 9월5일자 2면 참조>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원문 :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sid=E&tid=9&nnum=624906
한전 방문한 이 대통령 "왜 전문가가 없느냐" 호통
관련부처·기관에는 낙하산·전관예우 인사 '득시글'
청와대는 18일 '정전대란'의 책임을 물어 사실상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을 경질키로 방침을 정했다. "책임을 묻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질책이 결국 최 장관 경질 방침으로 이어진 것이다.
사실 낙하산·전관예우로 일관된 'MB식 인사'가 전력대란의 또다른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다. 전문성을 외면한 낙하산 인사가 위기시 신속한 대처를 어렵게 했다는 것이다. 전력대란 첫날 주무장관인 최 지경부장관이 이 대통령 주최 콜롬비아 대통령 만찬장에 있었다는 사실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9일 청와대와 지경부에 따르면 전력대란에 직간접 책임이 있는 장관과 공기업사장 8명 가운데 전문경력을 갖춘 사람은 1~2명에 불과했다. 총괄책임을 지게 된 최 지경부장관은 기재부(옛 재경부) 출신의 국제금융통이다.
기온상승 문제를 총괄해야 할 유영숙 환경부장관 역시 기후문제와는 거리가 먼 생화학을 전공한 여성과학자다. 전문성보다 대통령의 신임도와 '여성 끼워 넣기' 논리에 따라 장관을 임명 전력대란을 자초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전력·발전 관련 공기업 인사는 더욱 심각하다. 정권실세의 추천을 받은 비전문가와 지경부 퇴직간부들에게 전관예우 차원에서 자리를 만들어줬기 때문이다. 전력계통을 책임진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지경부 전관예우 케이스다. 지경부 석유산업과장, 지역특구개발위원장을 지냈으며 임태희 대통령실장과 같은 행시 24기 출신이다.
발전사 사장 역시 마찬가지다. 남인석 중부발전 사장은 산업기술을 주로 다룬 지경부 출신이다. 민간기업 출신의 장도수 남동발전 사장은 아예 '전력·발전' 분야의 문외한이다. 더구나 사장의 경영성과를 감시해야 할 한전 자회사 11개 감사는 전원 정치권 출신의 '낙하산 부대'다.
전력대란 이후에도 나눠먹기 인사에 대해 청와대가 시정할 의지가 없다는 점은 더욱 우려되는 대목이다. 청와대는 오는 10월 임기가 만료되는 동서·남동발전 사장을 연임시키기로 하고 대통령 재가 절차만 남겨둔 상태다. <내일신문 9월5일자 2면 참조>
성홍식 기자 hssung@naeil.com
원문 :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sid=E&tid=9&nnum=6249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