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1년 10월 12일 수요일

청와대 '내곡동 땅 논란'에 내놓은 해법은?

2011.10.12 15:35



[쿠키 정치]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사저로 사용할 서울 ‘내곡동 땅’ 파문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경호 부지를 일부 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일정을 수행하고 있는 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2일 “(경호부지인) 648평은 원래 땅 주인이 전체를 사지 않으면 못 팔겠다고 이야기 해서 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40억 원을 넘게 주고 산 경호부지와 관련 “계산을 해 보니 예산 범위에서 가능한 것 같아 구입했다”는 설명도 더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쓸 일이 더 없다면 처분할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서 “다만 그걸 누가 사주느냐는 것이다. 맹지(도로와 맞닿은 부분이 전혀 없는 토지)라도 쓰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처분할 생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용도로 쓴다면 경호실에서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하지만 대통령 사저와 경호시설이 맞닿은 땅을 일반에 공매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 관계자도 “경호시설로 활용하고 남는 것은 사겠다는 사람이 있으면 넘기는 것인데 그게 참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고 인정했다.

현재 청와대 쪽에선 강남구나 서울시가 매입에 나설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노무현 전 대통령 사저의 인근 경호부지에 비해 넓다는 지적에는 “직접적으로 비교해서 (계획)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당초 경호시설 부지가 너무 넓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봉하에 비해 100평 정도 넓다”고 밝혔다.

이 같은 청와대 발언에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이었던 김경수 노무현재단 사무국장은 11일 자신의 트위터에 “봉하마을 경호시설이 350평에서 541평으로 둔갑했다”면서 “이명박 정부 경호처가 봉하마을 경호시설 부지 면적을 541명으로 밝혔지만 이는 경호관들이 머무는 읍내 아파트까지 억지로 포함시킨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사무국장은 “2008년 퇴임 당시 경호실에서 350평의 땅을 매입해 경호시설을 지었다”면서 “서울에 있는 다른 전직 대통령에 비하면 크다. 경호시설 안에 경호관들의 체력단련시설이나 교육시설, 회의실 등 부대시설이 부득이하게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에 있는 전직 대통령 경호관에 비해 봉하의 부대시설이 더 많이 들어갔지만 내곡동 땅에 비해선 훨씬 작다는 것이다.

한편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이날 여의도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사저자체는 대통령 사비로 짓기 때문에 문제될 게 없지만 세금이 들어가는 경호동 문제는 대폭 축소해야 한다”면서 “경호동을 축소하도록 청와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서윤경 기자


원문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pol&arcid=0005445682&code=41111211&cp=nv1














댓글 없음:

댓글 쓰기